elmo
banner
googolplex.bsky.social
elmo
@googolplex.bsky.social
내 어중간함에 신물이 나는 잡덕
Reposted by elmo
요 시간에는 일광욕.
November 15, 2025 at 1:20 AM
졸리는 가끔 작은 사람같이 느껴질 때가 있단 말이지…🤔
November 14, 2025 at 12:05 PM
오페라의 유령은! 에릭이! 고자라서! 아름다운 이야기인건데!!!!!! (오유 보다 럽네다 생각나서 딥빡침)
November 13, 2025 at 2:40 PM
그리고 결국 나도 독감 걸림. 큐ㅠㅠㅠㅠㅠㅠ
그래서 가족에게 안부 전화하면서 독감 조심하라는 말을 하려고 했더니 이미 누군가가 걸려있었다 😂 정말 다들 조심하십쇼
November 13, 2025 at 7:19 AM
Reposted by elmo
해외에 있는 소프트웨어 대기업들은 보통 본사는 아예 교외에 거대한 캠퍼스로 차리고 스튜디오를 여러 지역으로 분산하는데 한국에서도 그럴 필요가 있다고 생각함
November 8, 2025 at 10:43 AM
흰범이 한참 안보여서 어디서 뭐하나 봤더니 너무 제대로 이불 덮고 자고 있었군
November 8, 2025 at 11:17 AM
Reposted by elmo
경제를 돌아가게 한다면서 임금을 낮추자고 할 때 드는 생각
: 아 개인은 경제의 일원이 아니야? 초중학교 안나왔어?
고용주 협회: 경제를 개선하려면 세금과 사회보장료를 낮추고 임금을 억제해야 합니다.

내 안의 아이:
La Patronal: Para mejorar la economía debemos bajar impuestos y cotizaciones y contener los salarios.

Mi niño interior:
November 8, 2025 at 9:13 AM
내 주변에 요즘 독감 환자, 코로나 환자 다 나옴. 다들 돌림병 조심하십쇼.
November 8, 2025 at 8:29 AM
Reposted by elmo
몸이 이상하게 무겁고 뭘 안해도 지치는 분들.. 독감 검사 해보십시오. 오늘만 학생중에 2명 나왔습니다
November 8, 2025 at 8:27 AM
Reposted by elmo
나는 그냥 전자 뭐시기 영구소장이라는 것은 허상임을 받아들이기로 했어
오직 물질만이 영원하다
November 8, 2025 at 8:08 AM
크레마a 한 달 사용 후기.
빠릿하진 않음. 하지만 책장 넘기는덴 문제 없음.
작아서 무려 주머니에 들어감. 들고 다니기 아주 편함.
들고 다니기 정말 편함. (백 번 강조)
November 8, 2025 at 6:58 AM
어제 집에가서 소파에 누워 뒹굴대다 문득 퇴근 이후 졸리를 본 적이 없다는 것이 생각났다. 여기저기 주로 가있는 장소들을 봤지만 애가 안보여서 본격적으로 집 밖으로 나가서 찾아보려 했는데 그 순간 졸리가 어슬렁 나타났다. 어디 구석 바닥에 들어가 있었는지 아주아주 따끈해진 채로. 요새 기온 좀 떨어져서 보일러 돌렸더니 내 참 나…
November 5, 2025 at 1:45 AM
Reposted by elmo
무협지의 화산파가 거주했다는 화산에 다녀옴. 살다 살다 이렇게 험준한 산은 처음이었는데, 케이블카를 타지 않고 이 산을 올라간다는 건 일반인에게는 무리다! 여긴 일단 주차장까지 차를 타고 간 뒤 거기서 셔틀버스를 타고 25분쯤 가서 산 입구에서 내린 다음 케이블카 타는 곳까지 또 좀 걸어야 됨. 케이블카를 타면 세상 아찔한 풍경을 보며 산봉우리 거의 근처까지 올라감. 스위스 기술로 지은 케이블카라고 한다. 여기에 매점과 카페가 있는데, 카페에서 라떼를 13000원에 팔지만 워낙 험준한 곳이라 가격이 이해가 됨.
November 4, 2025 at 1:52 PM
묘체공학적 설계로 고양이들(특히 졸리)이 아주 좋아하는 바나나상자
November 2, 2025 at 2:21 PM
오늘 갔던 김제 카페. 더스팅카페지평선새마루점. 김제 특산품 지평선 뷰가 근사했다. 앞으로 주말에 일 없으면 종종 가게 될 듯.
November 2, 2025 at 12:06 PM
Reposted by elmo
강풍 덕에 갈매기 호버링 구경함
November 2, 2025 at 8:32 AM
Reposted by elmo
아 그래서 금관을 줬구나…!
October 31, 2025 at 9:15 PM
온누리몰에서 30% 할인 쿠폰(최대 3만원) 뿌리는 중. 그런데 이게 온누리상품권으로 결제가 되는데 온누리상품권 충전할때 10% 할인해줌. 식량 챙기십쇼들.

www.onnuri-mall.co.kr/mobile/produ...
November 1, 2025 at 2:02 AM
Reposted by elmo
'김선우'를 기억합니까? 반도체 공장에 나갔다가 간이 녹은 고교 실습생입니다.

지난해 공단은 산재 불승인 통보를 했고, 선우는 현재 공단을 상대로 행정소송 중입니다.

그리고 국회에서 또 한번 '선우'가 언급됐습니다. 반도체로 또 다른 도약을 준비하는 정부. 과연 어린 노동자들의 안전은 보장되어 있을까요.

★ 여러분의 '공유'가 셜록에게 가장 큰 힘이 됩니다.

#셜록 #진실탐사그룹셜록 #김연정기자 #반도체 #직업계고 #국정감사
October 31, 2025 at 7:06 AM
Reposted by elmo
마지막에 그냥 돈이나 주라는 말이 제일 기분나쁨 돈은 뭐 한두푼 요구했냐고 ㅋㅋㅋㅋ
Hey South Korea, what the f**k are you doing?! @desilydic.bsky.social
October 31, 2025 at 11:45 AM
Reposted by elmo
관세협상 관련해서 미국인들은 좀 말을 얹지 말았으면 좋겠다. 죄송한데 님들은 수탈 가해국 사람들이세요...
October 30, 2025 at 8:02 AM
Reposted by elmo
안전장치는 강요하는 게 맞는 게 옵션으로 두면 사람들이 자기는 그 정도로 멍청하지 않다고 생각하기에 안 하고, 사람은 무조건 실수를 하고 까먹기에 결국 사고가 난다고 들었음. 그래서 안전장치는 그냥 무조건 빌트인 하는 게 맞음.
October 24, 2025 at 2:50 AM
Reposted by elmo
이 기사의 의견에 대해서는 일견 동의하지만, 그 결론이 기여율 인상과 납입기간의 연장으로 귀결되는건 조금 의아하다.

여성 연금의 미충족이 된다는 것은, 20년 납입이 불가능한, 즉 20년간의 사업장 노동(사회보험이 적용되는)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반증하며, 그 금액이 적다는 것은 남/녀의 임금격차가 크다는 것을 반증하는데, 그것이 단순하게 기여율을 인상하고 납입기간을 연장하는 것으로 해결될 일일까?
"'연금에서의 소득 기반 및 성별 격차가 한국만큼 극심한 나라는 찾기 어렵다'고 김 교수는 말했다. '이게 정말 국민을 위한 연금인가?'"

"여성 연금의 미충족은 노인 빈곤의 핵심 요인이다. 2022년 노인 여성의 빈곤율은 43.4%로, 노인 남성의 31.2%보다 12.2포인트 높은 수치였다(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 국민연금 기여·수급의 성별 격차가 심각하다는 연구 결과 - NEWS더원
www.newstheone.com
October 22, 2025 at 11:33 PM
Reposted by elmo
시발 재명아 네가 이래봤자 밈에 물든 남초커뮤는 응 재명이 친중~이러며 비웃을 뿐입니다.
뉴스공장 기자를 청와대 출입기자로 내줄때부터 예감이 안좋았는데, 정부측은 한줌 딴지남 말만 듣고 성평등 정책을 짜는 듯
성평등정책과 대신 성형성평기획과가 주무과를 맡으면서 이재명 정부 성평등 정책이 남성 역차별 문제에 비중을 실을 가능성은 더 커졌다. 윤석열 정부에 이어 여성에 대한 차별과 폭력은 정책 우선순위에서 밀려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인권운동네트워크 ‘바람’은 지난 11일 성명을 내고 “성차별을 시정하기보다 성차별을 지우는 방식의 남성역차별 운운은 구조적 성차별을 심화시킬 뿐”이라고 했다.
n.news.naver.com/article/032/...
성평등정책과가 성평등가족부 주무과에서 밀려났다, 왜?[뉴스물음표]
여성가족부가 성평등가족부로 이름을 바꿔 첫 업무를 시작한 이달 1일. 성평등부에선 소규모 조직 개편도 이뤄졌다. 성평등정책을 기획·총괄하는 성평등정책실이 생기면서 기존 여성정책국이 성평등정책실 밑으로 배치됐다. 기존
n.news.naver.com
October 22, 2025 at 4:46 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