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3
wol3.bsky.social
ㅇ3
@wol3.bsky.social
Pinned
문송안함 타래
근데 진짜..."폐"를 끼친다, 라는 의식이 있고 그것에 따라 눈총을 주는 문화권과, 그렇지 않은 곳 차이가 꽤 크다. 누가 봐도 뭔가 걸린 것 같이 기침하고 코 풀어대면서 마스크 낄 생각도 안 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아...바로 뒷좌석 사람이 내리 그래서, 식사하는 동안 또는 화장실 등에서 감염된 게 아닌가 하는 의혹이 있다. 그래도 비교적 가볍게 지나가고 있지만.

아웃바운드 여정은 이제 딱 하나 남았으니까 잘 끝내보자...
November 23, 2025 at 4:01 PM
오늘의 기도: 산책길에 만나서 호의적으로 소매를 스쳤던 당신에게, 재현할 수 있는 소소하지만 확고한 행복이 자주, 일상적으로 깃들었으면 좋겠습니다 :)
November 23, 2025 at 3:33 PM
Reposted by ㅇ3
노인 인구가 많아지고 있는 지금
모든 기기는 아날로그 시대처럼 버튼과 다이얼식으루 돌아가야한다고 외쳐본다.
터치식은 잘 눌리지도 않고 눌렸는지도 모르겠고 터치식 화면이 잘 보이지도 않음.
아직 나는 아니라 생각말고 개발자님 디자이너님 금방 따라옵니다. 세련된 아날로그의 재 유행 바라봅니다.
November 23, 2025 at 1:37 PM
Reposted by ㅇ3
저번 수작업 모임땐 그릇을 만들었다죠. 첫번째껀 자유형태(그려진건 민들레) 두번째껀 틀에 얹어서 모양을 만드는 형태. 둘 다 음식 그릇으로 쓸 것..맘에 들어요. 담에도 또 하고 싶다! 재밌었어
November 23, 2025 at 10:03 AM
Reposted by ㅇ3
난 지귀연이랑 내란 동조 판사들이 그대로 있는게 이해가 안감;; 불안하지 않나?
좀있으면 지귀연이랑 다른 판사들도 내란 세력한테 모조리 무죄줄 것 같던데, 이제까지 판사들한테 어느정도 압박줬으니 그때까지 기다려보잔 심산이라면 정말 너무 화가 날것 같음.
November 23, 2025 at 11:02 AM
Reposted by ㅇ3
아빠와 다람쥐🤭

가을은 다람쥐가 사람에게 매우 들이대는 시기이기 때문에(다른 시기엔 데면데면함) 발밑을 특히 조심해야 한다.
November 23, 2025 at 10:31 AM
Reposted by ㅇ3
현대로 보내서 출근 시키기
#weavejest
November 23, 2025 at 2:25 PM
Reposted by ㅇ3
한이불 세 생명
November 23, 2025 at 10:36 AM
저항없이 빵 터져버렸어. ...분하다...orz
...........세
...........로
...........토
가로토닌
November 23, 2025 at 2:26 PM
Reposted by ㅇ3
...........세
...........로
...........토
가로토닌
November 23, 2025 at 12:49 PM
Reposted by ㅇ3
쿠팡 물류센터에서 야간에 일하던 30대 계약직 노동자가 회사에서 쓰러져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숨졌습니다. 쿠팡 물류센터에서 야간노동 중 발생한 사망은 올해 들어 세번째입니다.
얼마나 더 숨져야…쿠팡 야간노동자 또 사망, 회사는 ‘지병’ 운운
쿠팡 물류센터에서 야간에 일하던 30대 계약직 노동자가 회사에서 쓰러져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숨졌다. 쿠팡 물류센터에서 야간노동 중 발생한 사망은 올해 들어 세번째다. 23일 고용노동부와 화성동탄경찰서의 말을 종합하면, 경기도 화성시 신동에 있는 쿠팡 동탄1센터에서 일하
www.hani.co.kr
November 23, 2025 at 11:38 AM
Reposted by ㅇ3
ㅋㅋㅋㅋ 홍혜걸은 왜 저러고 사냐 ㅋㅋㅋ
November 23, 2025 at 11:12 AM
오래 보아온 이웃집 묘공 영감님이 부디 건강하고 무탈했으문...
November 23, 2025 at 12:53 PM
역시 사람은 '해야하는' 것 외의...안 해도 되지만 하면 즐거운 일상 속 알사탕 같은 대화와 소일거리가 꾸준히 있어야 해...잠깐의 덕톡으로 에너지가 충전됐다 (-//ㅅ//-)

새는 것 잘 틀어막고 꾸준히 물 보충해서 저수지 지켜가며 근근히 잘 버텨보자...
November 23, 2025 at 12:48 PM
Reposted by ㅇ3
“차 사고 여성이 더 위험” 미, 여성형 충돌시험 인형 첫 도입

입력
2025.11.23. 오전 1:28

여성 교통사고 사망률 17% 더 높고
심한 부상 입을 확률 73% 높은데
충돌시험 모형은 47년째 남성 기준
“안전의 성별격차 해소 위한 첫걸음”
www.womennews.co.kr/news/article...
“차 사고 여성이 더 위험” 미, 여성형 충돌시험 인형 첫 도입
미국 교통부가 지난 21일(현지시간) 여성의 몸을 기초로 설계한 자동차 충돌시험용 인체 모형(dummy)을 최초로 공개했다. 남성 모형만 사용하던 관행을 47년 만에 깼다. 션 더피 교통부 장관은 이날 새 충돌시험 인체 모형(dummy) ‘THOR-05F’를 공개했다. 최종 규정이 발
www.womennews.co.kr
November 23, 2025 at 11:33 AM
으아악 커피잔으로 쓰는 머그에 생강계피차 냄새가 밴 것 같다 ㅠ.ㅠ
November 23, 2025 at 11:53 AM
Reposted by ㅇ3
이게 작년 11월 27일 서울인데, 올해도 이제 23일 넘어가니까 거의 다 왔죠...
내 기억엔 첫눈은 이 무렵이면 다 내렸던 것 같은데
November 22, 2025 at 1:56 PM
Reposted by ㅇ3
다 지우면서 내 피아노도 날렸네.

오셨으면 피아노 보고 가시죠.

Blüthner 190cm, 1897년 제작, Aliquot & Patent 액션, Paulello 스트링.

해당 프레임과 Blüthner Patent액션 조합으로 구하긴 쉽지 않은 편…
April 22, 2025 at 9:30 PM
Reposted by ㅇ3
첫째 고양이는 지난 비상계엄 후 분리불안이 쫌 생겼듬(심하진 않음)

글서 인간이 회사 있는 시간이 아닌디 자기 눈앞에 안 보이면 큰 소리로 므아아앙!!! 하거나, 인간이랑 다른 방에 가서 므아아앙! 하고 인간이 자길 찾아오게 하는...습관?이 쫌 있듬(인간이 자기 찾아오면 쫌 안심되는 듯

'ㅅ`)...문제는 새로 이사한 곳이 복층인데

이제 첫째 고영이가 인간이 1층 있으믄 2층에서 므아앙 하고 인간이 2층 있으믄 1층에서 므아앙 한다는 것이다...

......ㅠㅁㄷ)...고양이가 태워주는 천국의 계단
November 23, 2025 at 2:23 AM
Reposted by ㅇ3
시대적 호황을 무한정 누린 세대라는 건 없음. 그런 “계급”이 있었을 뿐. 강남 아파트 값 치솟을 때 그걸 뭔 전국민이 샀겠냐? 대학만 졸업하면 대기업에서 모셔갔다는 시대에 대학 진학률은 30%가 안 됐음. 나머지 70%는 갑자기 없애버림. 무엇보다 경제 발전 중간에 imf가 떡하니 있었는디? 내가 딱 영포티라고 멸칭을 들을 세대인데, 우리가 무엇을 누렸다는 건지 여전히 가난하고 삶의 무게가 힘든 나는 이해가 안 됨. 그렇다고 내 선배 세대도, 내 부모 세대도 다 힘들었음. 그냥 미디어에 그럴싸하게 비치는 계급이 세대마다 있을 뿐.
November 23, 2025 at 4:22 AM
Reposted by ㅇ3
요즘 뉴스보면 내란 저지르고 부정 저지른걸 국민이 대놓고 봐도 내란범 하나 벌하는건 짱 오래 걸린다는걸 자주 깨달음...
November 23, 2025 at 6:20 AM
Reposted by ㅇ3
윤석열한테 비용 청구하자. 아크로비스타라도 몰수해
November 23, 2025 at 6:34 AM
Reposted by ㅇ3
오마이갓
November 23, 2025 at 7:44 AM
Reposted by ㅇ3
거 포괄임금제 있든없든 수당 안 주는 거 똑같은디 포괄임금제 폐지가 왜 필요한가?

제 경험상

야근/추가근무가 비슷한, 비슷한 규모의 비슷한 업계 기업)

포괄임금제가 아님: 대표가 “야근하지 말고 칼퇴해“라고 말하고 그럼에도 추가근무가 계속되면 어떻게든 방법을 찾음

포괄임금제임: 대표가 ”야근하지 말고 칼퇴해“라고 말하고 본인 혼자 퇴근함 영원히 야근이 계속 됌

...‘ㅅ`)...이 차이가 있겠읍니다
November 23, 2025 at 7:50 AM
Reposted by ㅇ3
정말 "한글은 비교적 최근에 만들어진 문자고 한국어 화자들은 오랫동안 한자를 빌려서 뜻이나 발음을 적어야 했어." 같은 말에도 한국인들은 "그렇지." 하는데 아메리카 친구들은 눈앞의 사람이 "15세기 중반"을 "비교적 최근"이라고 불렀다는 데서 충격을 받아…
ㅋㅋㅋㅋㅋㅋ
November 21, 2025 at 9:32 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