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usis
banner
argentwind.bsky.social
Dusis
@argentwind.bsky.social
트위터가 가라앉고 있어서 대비용 보금자리 마련. 먹는거, 여행, 예쁜거 좋아하는 욜로족.
Reposted by Dusis
생각하다 보니까 영국 제국주의자 놈들에게 화가 나네. 우리 호랑이들한테 뭘 판 거야? 😡
November 16, 2025 at 10:44 AM
Reposted by Dusis
호랑이굴에 물려 가도 정신만 차리면 산다지만, 호랑이굴이 아편굴이기도 하다면…?
호랑이가 피운 게 담배였기에 망정이지 아편이었으면 어쩔 뻔했니!
November 16, 2025 at 10:40 AM
Reposted by Dusis
전생한 주인공, 전생 전에는 한국 장로교회 청년부 회장이었는데 졸지에 로마 가톨릭 교도 되어서 라틴어 미사 빡시게 올려야함.

#발광
November 16, 2025 at 10:13 AM
Reposted by Dusis
아. 근데 이거 진짜 재밌겠다.
로판에 대고 '진짜 어쩌구'하는 것들 리얼 중세에 보내서 제국의 공포를 맛보여주기
November 16, 2025 at 9:34 AM
Reposted by Dusis
뭐뭐제국의 황제, 공작, 뭐시기, 저쩌구 좋아할텐데 '진짜 제국의 황제'를 맛봐라.

몽골제국의 황제, 칸.

<징기스칸>
November 16, 2025 at 9:33 AM
Reposted by Dusis
찾아보니 (모국어 외의 언어로 집필한 작가를)엑소포니라고 부르면서 아예 연구주제로도 삼는 모양이네요.

나보코프가 러시아-영어로 각각 집필한 바가 있고, 한국에도 변역된 작가로는 일본어와 독일어로 출판한 다와다 요코 같은 사례가 있는 모양입니다.
November 16, 2025 at 12:00 PM
Reposted by Dusis
사례가 있는지 모르겠지만, 한 작가가 두개의 언어로 글을 쓰고 각각 출판이 됐다면, 십진 분류 하에서는 서로 다른 국가 문학으로 들어갈수도 있다는 얘기죠.
November 16, 2025 at 11:52 AM
Reposted by Dusis
어렵죠... 저 국적이란 것도 참 애매모호하여, 카프카 소설을 독일문학으로 분류하는게 맞냐 체코문학으로 분류하는게 맞냐 보면서도 매번 고민을...

누구를 넣고 안 넣고 하는 문제도 있고, 이주민의 문학서를 어느 국가의 문학으로 보아야 하냐도 있고..=ㅁ= 한국은 특히 식민시대가 있으니 그 때의 문학은..? 이란 질문도 가능하니까요.
November 16, 2025 at 10:23 AM
Reposted by Dusis
이게 좀 머리 아픈게.. 보통은 xx문학이라고 국적을 붙이는 경우, 해당 국적을 가진 사람이 해당 국가의 정수 혹은 문화를 담아 해당 국적의 언어로 쓴 문학이라고 정의합니다. 그 정의 안에서는 재일교포가 쓴 소설은 한국소설 아니라 일본소설이고, 이민진의 파친코도 한굯소설 아니고 미국소설로 분류가 되거든요.

심청전은 중국이 배경이긴 하지만 뭐... 여튼 엄격하게 적용하기 시작하면 골치아프죠.;
November 16, 2025 at 9:31 AM
Reposted by Dusis
우리가 또 가성비의 민족 아니겠습니까? 카페인으로 피자를 퉁칠 수 있다면 당연히 아아입니다. #발광
November 16, 2025 at 11:21 PM
Reposted by Dusis
숙취에 시달리며 아아를 먹는 한국인 vs 피자리아로 기어가는 미국인(...)
November 16, 2025 at 11:20 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