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선생
@hybrideconomics.bsky.social
Somewhere in your warm heart.
Pinned
백화선생
@hybrideconomics.bsky.social
· Oct 24
백화의 이것저것 모음집 피드 (update)
1. 백화의 날씨 이것저것
bsky.app/profile/did:...
2. 백화의 경제 이것저것
bsky.app/profile/did:...
1. 백화의 날씨 이것저것
bsky.app/profile/did:...
2. 백화의 경제 이것저것
bsky.app/profile/did:...
좀 늦은 경제 이것저것
블랙록은 1.5억 달러 규모의 사모신용 상품을 전손처리했습니다. 겨우 1.5억 달러가 왜 싶겠지만, 1개월 전만 해도 해당 사모신용에 대해 1%의 손실도 적용하지 않고 있다가 갑자기 완전 상각을 시켜버렸다는겁니다. 자고 일어났더니 돈이 뿅 하고 사라진건데요.
이게 왜 문제가 되는걸까요?
시계를 조금 돌려봅시다. 지난 9월 30일(현지시간), 거대 자동차 부품 업체인 <퍼스트 브랜드(First Brands)>가 파산했습니다.
(참고 : www.globalmotors.co.kr/view.php?ud=...)
블랙록은 1.5억 달러 규모의 사모신용 상품을 전손처리했습니다. 겨우 1.5억 달러가 왜 싶겠지만, 1개월 전만 해도 해당 사모신용에 대해 1%의 손실도 적용하지 않고 있다가 갑자기 완전 상각을 시켜버렸다는겁니다. 자고 일어났더니 돈이 뿅 하고 사라진건데요.
이게 왜 문제가 되는걸까요?
시계를 조금 돌려봅시다. 지난 9월 30일(현지시간), 거대 자동차 부품 업체인 <퍼스트 브랜드(First Brands)>가 파산했습니다.
(참고 : www.globalmotors.co.kr/view.php?ud=...)
BlackRock Faces 100% Loss on Private Loan, Adding to Credit Market Pain
About a month ago, BlackRock Inc. deemed the private debt it had extended to Renovo Home Partners, a struggling home improvement company, to be worth 100 cents on the dollar. As of last week, the firm...
www.bloomberg.com
November 11, 2025 at 11:00 AM
좀 늦은 경제 이것저것
블랙록은 1.5억 달러 규모의 사모신용 상품을 전손처리했습니다. 겨우 1.5억 달러가 왜 싶겠지만, 1개월 전만 해도 해당 사모신용에 대해 1%의 손실도 적용하지 않고 있다가 갑자기 완전 상각을 시켜버렸다는겁니다. 자고 일어났더니 돈이 뿅 하고 사라진건데요.
이게 왜 문제가 되는걸까요?
시계를 조금 돌려봅시다. 지난 9월 30일(현지시간), 거대 자동차 부품 업체인 <퍼스트 브랜드(First Brands)>가 파산했습니다.
(참고 : www.globalmotors.co.kr/view.php?ud=...)
블랙록은 1.5억 달러 규모의 사모신용 상품을 전손처리했습니다. 겨우 1.5억 달러가 왜 싶겠지만, 1개월 전만 해도 해당 사모신용에 대해 1%의 손실도 적용하지 않고 있다가 갑자기 완전 상각을 시켜버렸다는겁니다. 자고 일어났더니 돈이 뿅 하고 사라진건데요.
이게 왜 문제가 되는걸까요?
시계를 조금 돌려봅시다. 지난 9월 30일(현지시간), 거대 자동차 부품 업체인 <퍼스트 브랜드(First Brands)>가 파산했습니다.
(참고 : www.globalmotors.co.kr/view.php?ud=...)
It’sLightsoutAndAwayWeGo!
November 11, 2025 at 7:58 AM
It’sLightsoutAndAwayWeGo!
이것이야 말로 K-Defense 산업(?)
November 11, 2025 at 5:41 AM
이것이야 말로 K-Defense 산업(?)
그리고 이젠 이것도 가게 생겨따!...
November 11, 2025 at 2:21 AM
그리고 이젠 이것도 가게 생겨따!...
40줄 된 아저씨 가방에 라부부 매달려 있으면 좀 그렇겠죠 ㅡㅜ
November 11, 2025 at 1:13 AM
40줄 된 아저씨 가방에 라부부 매달려 있으면 좀 그렇겠죠 ㅡㅜ
트럼프가 미 정부 셧다운 기간 동안 근무한 애국적인 항공 교통 관제사들에게 1만 달러 보너스 수표를 지급할 자금을 반드시 찾겠다고 발언.
기자: 그 돈은 어디서 구할 건가요?
트럼프: “모르겠습니다."
... -_-;
기자: 그 돈은 어디서 구할 건가요?
트럼프: “모르겠습니다."
... -_-;
November 11, 2025 at 1:12 AM
트럼프가 미 정부 셧다운 기간 동안 근무한 애국적인 항공 교통 관제사들에게 1만 달러 보너스 수표를 지급할 자금을 반드시 찾겠다고 발언.
기자: 그 돈은 어디서 구할 건가요?
트럼프: “모르겠습니다."
... -_-;
기자: 그 돈은 어디서 구할 건가요?
트럼프: “모르겠습니다."
... -_-;
이걸 보고 뭐 조선이 어쩌고 하는데, 실제 세운상가 논란 문제는 유권해석 문제입니다.
당초 오시장은 종묘 인근 세운상가 고층 개발을 진행했는데, 종묘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다보니 문화유산 인근 지역 개발 시 국가유산청과 협의해야 한다는 조례가 있었어요.
그런데 이걸 국힘이 절대다수인 서울시의회에서 지워버리고 통과시킨 뒤에 사업을 진행한겁니다. 당연히 문체부가 조례 삭제 무효를 주장하며 소송을 걸었는데 대법원은 절차적으로는 정당하다며 삭제 무효 판결을 했거든요.
서울시는 대법판결을 "맘대로 고층개발 해도 됨"이라고 유권해석한거죠.
당초 오시장은 종묘 인근 세운상가 고층 개발을 진행했는데, 종묘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다보니 문화유산 인근 지역 개발 시 국가유산청과 협의해야 한다는 조례가 있었어요.
그런데 이걸 국힘이 절대다수인 서울시의회에서 지워버리고 통과시킨 뒤에 사업을 진행한겁니다. 당연히 문체부가 조례 삭제 무효를 주장하며 소송을 걸었는데 대법원은 절차적으로는 정당하다며 삭제 무효 판결을 했거든요.
서울시는 대법판결을 "맘대로 고층개발 해도 됨"이라고 유권해석한거죠.
부동산 개발 같은 탐욕스러운 마음은 너무 노골적이라 생각했는지 되도 않는 고귀하신 탈민족주의 공화주의자 행세들을 하는데, 너무 어울리지 않는다
역사라는 맥락 속에서 과거를 이어 현재와 미래를 살아가려는 공화국 시민들이 절대다수일 텐데 무슨 조선인이니 사대주의니...
너무 얄팍하고 천박한 역사인식이다
살아있는 공화국의 '돈 많은' 국민이 중요한 것이겠지
그런 공화국은 죽이는 것이 훨씬 낫다
역사라는 맥락 속에서 과거를 이어 현재와 미래를 살아가려는 공화국 시민들이 절대다수일 텐데 무슨 조선인이니 사대주의니...
너무 얄팍하고 천박한 역사인식이다
살아있는 공화국의 '돈 많은' 국민이 중요한 것이겠지
그런 공화국은 죽이는 것이 훨씬 낫다
November 11, 2025 at 12:41 AM
이걸 보고 뭐 조선이 어쩌고 하는데, 실제 세운상가 논란 문제는 유권해석 문제입니다.
당초 오시장은 종묘 인근 세운상가 고층 개발을 진행했는데, 종묘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다보니 문화유산 인근 지역 개발 시 국가유산청과 협의해야 한다는 조례가 있었어요.
그런데 이걸 국힘이 절대다수인 서울시의회에서 지워버리고 통과시킨 뒤에 사업을 진행한겁니다. 당연히 문체부가 조례 삭제 무효를 주장하며 소송을 걸었는데 대법원은 절차적으로는 정당하다며 삭제 무효 판결을 했거든요.
서울시는 대법판결을 "맘대로 고층개발 해도 됨"이라고 유권해석한거죠.
당초 오시장은 종묘 인근 세운상가 고층 개발을 진행했는데, 종묘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다보니 문화유산 인근 지역 개발 시 국가유산청과 협의해야 한다는 조례가 있었어요.
그런데 이걸 국힘이 절대다수인 서울시의회에서 지워버리고 통과시킨 뒤에 사업을 진행한겁니다. 당연히 문체부가 조례 삭제 무효를 주장하며 소송을 걸었는데 대법원은 절차적으로는 정당하다며 삭제 무효 판결을 했거든요.
서울시는 대법판결을 "맘대로 고층개발 해도 됨"이라고 유권해석한거죠.
25/11/11 날씨 이것저것
오늘은 1이 4개 늘어선 작대기 과자를 주는 날입니다. 근본없는 상술이라고 할 수도 있지만, 그래도 이럴때라도 주변 사람들에게 마음을 전할 수 있잖아요. 핑계삼아라도 한번 이야기를 하고, 온기를 나눌 수 있는 날이라 생각해요. 물론 그게 너무 과하면 안되겠지만요. 뭐든 적당한게 중요합니다. 조그만 정성 하나면 되겠죠.
마침 날씨도 상당히 쌀쌀해졌습니다. 오늘과 어제 관측된 아침 최저기온을 비교해보면 진한 파란색으로 칠해진 차가운 영역이 훨씬 넓어진 것을 볼 수 있죠. 하지만 이것도 낮부턴 풀립니다.
오늘은 1이 4개 늘어선 작대기 과자를 주는 날입니다. 근본없는 상술이라고 할 수도 있지만, 그래도 이럴때라도 주변 사람들에게 마음을 전할 수 있잖아요. 핑계삼아라도 한번 이야기를 하고, 온기를 나눌 수 있는 날이라 생각해요. 물론 그게 너무 과하면 안되겠지만요. 뭐든 적당한게 중요합니다. 조그만 정성 하나면 되겠죠.
마침 날씨도 상당히 쌀쌀해졌습니다. 오늘과 어제 관측된 아침 최저기온을 비교해보면 진한 파란색으로 칠해진 차가운 영역이 훨씬 넓어진 것을 볼 수 있죠. 하지만 이것도 낮부턴 풀립니다.
November 10, 2025 at 10:57 PM
25/11/11 날씨 이것저것
오늘은 1이 4개 늘어선 작대기 과자를 주는 날입니다. 근본없는 상술이라고 할 수도 있지만, 그래도 이럴때라도 주변 사람들에게 마음을 전할 수 있잖아요. 핑계삼아라도 한번 이야기를 하고, 온기를 나눌 수 있는 날이라 생각해요. 물론 그게 너무 과하면 안되겠지만요. 뭐든 적당한게 중요합니다. 조그만 정성 하나면 되겠죠.
마침 날씨도 상당히 쌀쌀해졌습니다. 오늘과 어제 관측된 아침 최저기온을 비교해보면 진한 파란색으로 칠해진 차가운 영역이 훨씬 넓어진 것을 볼 수 있죠. 하지만 이것도 낮부턴 풀립니다.
오늘은 1이 4개 늘어선 작대기 과자를 주는 날입니다. 근본없는 상술이라고 할 수도 있지만, 그래도 이럴때라도 주변 사람들에게 마음을 전할 수 있잖아요. 핑계삼아라도 한번 이야기를 하고, 온기를 나눌 수 있는 날이라 생각해요. 물론 그게 너무 과하면 안되겠지만요. 뭐든 적당한게 중요합니다. 조그만 정성 하나면 되겠죠.
마침 날씨도 상당히 쌀쌀해졌습니다. 오늘과 어제 관측된 아침 최저기온을 비교해보면 진한 파란색으로 칠해진 차가운 영역이 훨씬 넓어진 것을 볼 수 있죠. 하지만 이것도 낮부턴 풀립니다.
생각난김에 이거 PDF판 구해서 했는데 6데스 함 ㅡㅡ;;
November 10, 2025 at 4:51 AM
생각난김에 이거 PDF판 구해서 했는데 6데스 함 ㅡㅡ;;
짧게 쓴다 해놓고 다 쓰니까 10개야 -_-;
November 10, 2025 at 3:44 AM
짧게 쓴다 해놓고 다 쓰니까 10개야 -_-;
오늘은 짧은 경제 이것저것.. 진짜 짧게 쓸게요.
최근 환율이 널을 뛰고 있습니다. 1450원대를 오락가락하면서 이게 맞냐 소리가 나오죠. 그런데 또 반대로 국내 증시는 마구 달립니다.
그걸 보고 펨코 등지에서는 달러인덱스에 환율을 곱해서 사실상 얼마다 이런 소리를 하고 있는데, 환율과 증시 이야기를 간략하게만 해석하겠습니다.
먼저 가장 직접적인 이슈는 미 정부 셧다운입니다. 셧다운 장기화로 인해 전체적으로 급락하다 갑자기 셧다운 문제 해소 이야기가 돌면서 증시엔 훈풍이 불고 있는데요.
증시와 셧다운은 무슨 관계일까요?
최근 환율이 널을 뛰고 있습니다. 1450원대를 오락가락하면서 이게 맞냐 소리가 나오죠. 그런데 또 반대로 국내 증시는 마구 달립니다.
그걸 보고 펨코 등지에서는 달러인덱스에 환율을 곱해서 사실상 얼마다 이런 소리를 하고 있는데, 환율과 증시 이야기를 간략하게만 해석하겠습니다.
먼저 가장 직접적인 이슈는 미 정부 셧다운입니다. 셧다운 장기화로 인해 전체적으로 급락하다 갑자기 셧다운 문제 해소 이야기가 돌면서 증시엔 훈풍이 불고 있는데요.
증시와 셧다운은 무슨 관계일까요?
40일째 美셧다운 사태 급반전…민주 중도파 돌아서며 종결 임박(종합) | 연합뉴스
(워싱턴=연합뉴스) 홍정규 조준형 특파원 = 9일(현지시간)부로 40일째 이어지고 있는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일부 기능정지)이 금명간 종료될 것...
www.yna.co.kr
November 10, 2025 at 3:44 AM
오늘은 짧은 경제 이것저것.. 진짜 짧게 쓸게요.
최근 환율이 널을 뛰고 있습니다. 1450원대를 오락가락하면서 이게 맞냐 소리가 나오죠. 그런데 또 반대로 국내 증시는 마구 달립니다.
그걸 보고 펨코 등지에서는 달러인덱스에 환율을 곱해서 사실상 얼마다 이런 소리를 하고 있는데, 환율과 증시 이야기를 간략하게만 해석하겠습니다.
먼저 가장 직접적인 이슈는 미 정부 셧다운입니다. 셧다운 장기화로 인해 전체적으로 급락하다 갑자기 셧다운 문제 해소 이야기가 돌면서 증시엔 훈풍이 불고 있는데요.
증시와 셧다운은 무슨 관계일까요?
최근 환율이 널을 뛰고 있습니다. 1450원대를 오락가락하면서 이게 맞냐 소리가 나오죠. 그런데 또 반대로 국내 증시는 마구 달립니다.
그걸 보고 펨코 등지에서는 달러인덱스에 환율을 곱해서 사실상 얼마다 이런 소리를 하고 있는데, 환율과 증시 이야기를 간략하게만 해석하겠습니다.
먼저 가장 직접적인 이슈는 미 정부 셧다운입니다. 셧다운 장기화로 인해 전체적으로 급락하다 갑자기 셧다운 문제 해소 이야기가 돌면서 증시엔 훈풍이 불고 있는데요.
증시와 셧다운은 무슨 관계일까요?
그런식이라면 그 어떤 문화, 그 어떤 국가에 가치가 있으리오... 현대인의 잣대만으로 과거를 재단하는 것 만큼 안일한 것이 또 있을까...
November 9, 2025 at 11:37 PM
그런식이라면 그 어떤 문화, 그 어떤 국가에 가치가 있으리오... 현대인의 잣대만으로 과거를 재단하는 것 만큼 안일한 것이 또 있을까...
굉장히 기분나쁜 멘션이 오네 -_-;
November 9, 2025 at 11:28 PM
굉장히 기분나쁜 멘션이 오네 -_-;
25/11/10 날씨 이것저것
좋은 아침입니다. 문득 블루스카이 가족 여러분께 항상 감사하단 말씀을 드리고 싶어졌습니다.
어제보다는 확연하게 쌀쌀해졌지만 막 못 버틸 정도로 춥진 않은 아침입니다. 하지만 북풍의 한기가 계속 쌓이며 오늘 낮 기온은 지금과 크게는 달라지지 않을 정도고, 내일 새벽엔 일부 지역에서 영하권의 날씨를 기록할 정도로 춥겠습니다.
다행스럽게 이 추위는 내일 낮부터 서서히 풀리며 수능일인 13일에는 따뜻한 것 아닐까? 하는 느낌까지 들겠습니다. 예전엔 거의 매 수능날만 되면 급작스럽게 추워지곤 했었는데요.
좋은 아침입니다. 문득 블루스카이 가족 여러분께 항상 감사하단 말씀을 드리고 싶어졌습니다.
어제보다는 확연하게 쌀쌀해졌지만 막 못 버틸 정도로 춥진 않은 아침입니다. 하지만 북풍의 한기가 계속 쌓이며 오늘 낮 기온은 지금과 크게는 달라지지 않을 정도고, 내일 새벽엔 일부 지역에서 영하권의 날씨를 기록할 정도로 춥겠습니다.
다행스럽게 이 추위는 내일 낮부터 서서히 풀리며 수능일인 13일에는 따뜻한 것 아닐까? 하는 느낌까지 들겠습니다. 예전엔 거의 매 수능날만 되면 급작스럽게 추워지곤 했었는데요.
November 9, 2025 at 10:53 PM
25/11/10 날씨 이것저것
좋은 아침입니다. 문득 블루스카이 가족 여러분께 항상 감사하단 말씀을 드리고 싶어졌습니다.
어제보다는 확연하게 쌀쌀해졌지만 막 못 버틸 정도로 춥진 않은 아침입니다. 하지만 북풍의 한기가 계속 쌓이며 오늘 낮 기온은 지금과 크게는 달라지지 않을 정도고, 내일 새벽엔 일부 지역에서 영하권의 날씨를 기록할 정도로 춥겠습니다.
다행스럽게 이 추위는 내일 낮부터 서서히 풀리며 수능일인 13일에는 따뜻한 것 아닐까? 하는 느낌까지 들겠습니다. 예전엔 거의 매 수능날만 되면 급작스럽게 추워지곤 했었는데요.
좋은 아침입니다. 문득 블루스카이 가족 여러분께 항상 감사하단 말씀을 드리고 싶어졌습니다.
어제보다는 확연하게 쌀쌀해졌지만 막 못 버틸 정도로 춥진 않은 아침입니다. 하지만 북풍의 한기가 계속 쌓이며 오늘 낮 기온은 지금과 크게는 달라지지 않을 정도고, 내일 새벽엔 일부 지역에서 영하권의 날씨를 기록할 정도로 춥겠습니다.
다행스럽게 이 추위는 내일 낮부터 서서히 풀리며 수능일인 13일에는 따뜻한 것 아닐까? 하는 느낌까지 들겠습니다. 예전엔 거의 매 수능날만 되면 급작스럽게 추워지곤 했었는데요.
저게 사람이야 막스야-_- 비도 안오는데 피트레인 스타트에서 P3이라고?
November 9, 2025 at 9:40 PM
저게 사람이야 막스야-_- 비도 안오는데 피트레인 스타트에서 P3이라고?
뭔가 삼성에서 숭한 일이 터진 것 같은데
November 7, 2025 at 4:43 AM
뭔가 삼성에서 숭한 일이 터진 것 같은데
아니 원래 이런 하위 리그에도 이렇게 빡센거 맞나요
November 7, 2025 at 3:30 AM
아니 원래 이런 하위 리그에도 이렇게 빡센거 맞나요
... 퍼주기 좌파 정책이라며? -_-
November 7, 2025 at 1:09 AM
... 퍼주기 좌파 정책이라며? -_-
보안에 쓸 돈 없단 소리 하기만 해봐라 -_-
[속보] KT, 3분기 영업이익 5382억…전년비 16.0% 증가
(내용없음)
www.dailian.co.kr
November 7, 2025 at 12:53 AM
보안에 쓸 돈 없단 소리 하기만 해봐라 -_-
인천공항 시설 중 우 눈에 보이지 않는 지하엔 말이죠...
450명의 근로자들이 교대근무하며 총 88km에 달하는 컨베이어벨트를 24시간 유지보수해야만 돌아갑니다.
매출 어쩌고 하는 사람들은 이런 사람들 인건비를 어떻게 하고 고용 안정성을 어떻게 하자는거겠...죠...?
450명의 근로자들이 교대근무하며 총 88km에 달하는 컨베이어벨트를 24시간 유지보수해야만 돌아갑니다.
매출 어쩌고 하는 사람들은 이런 사람들 인건비를 어떻게 하고 고용 안정성을 어떻게 하자는거겠...죠...?
November 7, 2025 at 12:36 AM
인천공항 시설 중 우 눈에 보이지 않는 지하엔 말이죠...
450명의 근로자들이 교대근무하며 총 88km에 달하는 컨베이어벨트를 24시간 유지보수해야만 돌아갑니다.
매출 어쩌고 하는 사람들은 이런 사람들 인건비를 어떻게 하고 고용 안정성을 어떻게 하자는거겠...죠...?
450명의 근로자들이 교대근무하며 총 88km에 달하는 컨베이어벨트를 24시간 유지보수해야만 돌아갑니다.
매출 어쩌고 하는 사람들은 이런 사람들 인건비를 어떻게 하고 고용 안정성을 어떻게 하자는거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