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선생
banner
hybrideconomics.bsky.social
백화선생
@hybrideconomics.bsky.social
Somewhere in your warm heart.
Gwbasic세대 닝겐들 트럭으로 나올듯 ㅋㅋㅋㅋㅋㅋ
November 11, 2025 at 12:46 PM
(괘도세대 들켰다)
November 11, 2025 at 11:09 AM
괘도…
November 11, 2025 at 11:05 AM
두둥탁
오늘은 짧은 경제 이것저것.. 진짜 짧게 쓸게요.

최근 환율이 널을 뛰고 있습니다. 1450원대를 오락가락하면서 이게 맞냐 소리가 나오죠. 그런데 또 반대로 국내 증시는 마구 달립니다.

그걸 보고 펨코 등지에서는 달러인덱스에 환율을 곱해서 사실상 얼마다 이런 소리를 하고 있는데, 환율과 증시 이야기를 간략하게만 해석하겠습니다.

먼저 가장 직접적인 이슈는 미 정부 셧다운입니다. 셧다운 장기화로 인해 전체적으로 급락하다 갑자기 셧다운 문제 해소 이야기가 돌면서 증시엔 훈풍이 불고 있는데요.

증시와 셧다운은 무슨 관계일까요?
40일째 美셧다운 사태 급반전…민주 중도파 돌아서며 종결 임박(종합) | 연합뉴스
(워싱턴=연합뉴스) 홍정규 조준형 특파원 = 9일(현지시간)부로 40일째 이어지고 있는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일부 기능정지)이 금명간 종료될 것...
www.yna.co.kr
November 11, 2025 at 11:04 AM
르끌레르는 오늘도 억까를 당합니다 ㅠㅠ
November 11, 2025 at 11:01 AM
이런 불안정한 상황에서 몇몇 호재만 보고 고 레버리지, 혹은 초 고위험 자산에 새로 포지션을 잡는건 굉장히 위험합니다. 어느정도 리스크가 해소된 뒤에 안전하게 잡아도 되요.

개인 투자자들은 살아남는게 이기는겁니다. 항상 조심하고, 기관들이 보여주는 장밋빛 전망에 너무 속아 넘어가지 마세요. 호재보다 매크로를, 실적보다 본질을 보세요.

그럼 좋은 밤 되세요.
November 11, 2025 at 11:00 AM
이 사람들이 단순히 저소득층을 엿먹이려고 그랬을까요? 가격 상승 압박과 실적 압박을 동시에 받아서 가격을 코로나 기간동안 깨작깨작 올렸던겁니다.

그동안은 미국인들이 바이든 행정부가 푼 보조금 등으로 버티다 한계에 슬슬 도달한거죠. 그러니 문제가 된거고 부랴부랴 가격 인하를 하겠다고 하는데, 여기서 우리는 미국인들의 주머니 사정이 갈수록 악화된다는걸 눈치챌 수 있습니다.

당연히 트럼프는 보조금 살포를 멈출 수 없을거고, 미 국채는 상승 압박을 강하게 받겠죠. 지금 미국 경제는 멈출 수 없는 일방통행으로 가고 있다고 보여요.
"빅맥 세트가 어떻게 2만 5천원?"...맥도날드, 결국 백기 들었다
미국에서 빅맥 가격 논란에 휩싸였던 맥도날드가 결국 가격을 인하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5달러 메뉴'도 다시 꺼내든다. 2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보도에 따르면 미국 맥도날드는 인기 세트 메뉴 8종의
n.news.naver.com
November 11, 2025 at 11:00 AM
급히 트루스 소셜을 통해 관세 보조금 지급 후 남은 돈은 정부 부채를 갚는데 쓰겠다고 했는데, 우선순위를 생각하면 + 그리고 MAGA 지지층의 정치 효용감을 생각하면 부채 상환보다 당장 주머니에 들어올 보조금을 더 원하겠죠. 그만큼 지금 미국인들의 주머니는 취약해지고 있으니까요.

이게 어느 정도냐면, 맥도널드 저소득층 소비자 방문이 두 자릿수 비율로 감소, 대신 고소득층 소비자가 두 자릿수 비율로 증가했습니다. 돈 없어서 맥도널드조차 가기 힘든 상황이 되고 있는거에요. 물론 맥도널드가 빅맥을 18$에 파는 짓을 하기도 했지만요.
November 11, 2025 at 11:00 AM
미국 정부는 발권력이 없어요. 채권을 발행해서 이걸 시장에 파는것으로 돈을 마련하기 때문입니다. 보통은 연준이 이를 매입하지만, 문제는 재정적자를 줄이겠다고 하며 당선된 트럼프가 재정적자를 역으로 늘리는 방향으로 나서면 시장은 트럼프 행정부, 나아가 미국 채권에 대한 신뢰를 상실하게 됩니다. 장기채 금리는 상승 압박을 강하게 받죠.

트럼프는 연준을 비난만 했죠? 행정부가 연준을 컨트롤 할 수 있다면 안 이래도 되는데 말입니다. 결국 국채 금리 압박은 커져만 갔고, 실제로 금리가 오르고 있죠. 트럼프는 비상이 걸렸습니다.
November 11, 2025 at 11:00 AM
연준때문입니다.

보통 개인 투자자들은 신제품(혹은 상품)이나 소위 말하는 호재가 주가를 견인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렇지 않습니다. 주가를 움직이는 것은 돈이 어디로 돌아가는가입니다.

보통 이런 거대 자금의 향방은 통상적으로 거시적 지표에 의해 결정되죠. 드러켄밀러는 실적이 시장을 움직이는게 아니라 연준이 움직인다고 말했습니다.

현 시점에서 연준은 이미 트럼프 행정부와 개입 시점에서 엇박자를 보이고 있어요. 트럼프가 보조금을 살포하건, 오바마케어를 받아들이건 돈을 결국 써야하고, 이는 국채 금리 상승을 유발합니다.
November 11, 2025 at 11:00 AM
하지만 현재 경제 상황은 굉장히 불안정한 구조를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사실상 AI 버블이라 해도 과언이 아닌데, 이 버블을 끝까지 끌고가서 기술적 특이점이 오는 대유쾌마운틴을 넘어갈지, 혹은 터질지 누구도 알 수 없는 상황이라는겁니다.

최근 엔비디아의 시총은 일본의 GDP를 넘어섰습니다. 과거 일본 버블경제 당시 덴노가 사는 고쿄 땅값만 계산해도 캘리포니아 전체의 가치보다 높았었는데, 지금도 그런가요? 아니잖아요.

혹자는 트럼프가 돈을 풀고 빚을 갚고 하면서 그 돈이 투자로 몰린다고 하는데요. 그것도 그렇지 않습니다.
NVIDIA’s Valuation Now Exceeds Japan’s GDP
At the peak of Japan’s 1980s property boom, the land beneath Tokyo’s Imperial Palace was said to be worth more than the entire state of California. The comparison once seemed absurd: several square ki...
www.linkedin.com
November 11, 2025 at 11:00 AM
물론 S&P500과 사모신용의 주가 갭을 보면 시장은 이런 구라에 대해 혹독한 철퇴를 내리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만, 그것도 정보를 사전에 입수한 사람들이나 가능한 이야기겠죠.

사실 연준 금리 인하 이야기가 나오고, 트럼프가 돈을 푼다는 이야기가 나오면서 곳곳에서는 자칭 투자 구루들이 지금 사야 한다, 당장 사라, 얼마를 간다 이런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저런 사람들 뿐만이 아닙니다. JP Morgan과 같은 유수의 IB도 코스피가 6천을 가네, 1만을 가네 이런 이야기를 합니다.

듣기엔 기분이 참 좋습니다.
November 11, 2025 at 11:00 AM
크레딧 스프레드, 즉 기업채 스프레드는 국채 등 안전자산과 기업채(회사채) 등 위험 자산과의 금리 차이를 말합니다. 주로 신용 위험이 크면 스프레드가 벌어지고, 위험이 낮으면 스프레드가 좁아지죠. 채권의 금리에는 리스크 비용이 포함되어 있으니까요. 신용이 낮은 사람이 돈을 빌리려면 더 높은 이율을 요구하잖아요?

여튼, 파산을 알고 엑싯을 하면서도 IB(투자은행)들은 몰래 시장의 부실에 대해서 은폐를 하고 있었다는 말입니다. 개인들을 끝까지 속이고 있는거에요.
Blackstone Sees Tight Credit Spreads Fueling Private Debt Boom
Razor thin corporate bond spreads are underpinning a global investor push into private markets, which can pay significantly more, according to Blackstone Inc.
www.bloomberg.com
November 11, 2025 at 11:00 AM
그런데 블랙스톤의 경우 (1994년 블랙스톤에서 블랙록이 독립해 나왔습니다. 사실상 한 뿌리) 여러 매체에서 "9월 30일 기준으로는 익스포저가 없었다"고 발표했지만 기실은 그 이전에 상당량의 익스포저가 있었고, 퍼스트 브랜드의 파산을 사전에 캐치한 뒤에 몰래 엑싯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럴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여기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따로 있습니다. 파산 며칠 전 9월 18일, 블랙스톤은 이와 전혀 상반되는 이야기를 했습니다. 바로 현재 크레딧 스프레드가 낮다며 사모 신용의 붐이 올 것이라 한거죠.
UBS fund holds 30% exposure linked to First Brands
Switzerland’s largest bank has multiple investments tied to bankrupt auto parts maker.
www.swissinfo.ch
November 11, 2025 at 11:00 AM
네 제법 되용
November 11, 2025 at 9:18 AM
아니 얼마나 도동놈들이 많으면 다들 탈취걱정을 ㄷㄷㄷ
November 11, 2025 at 8:47 AM
제가 애플페이로 결제해섴ㅋㅋㅋㅋ ㅠㅠ
November 11, 2025 at 8:45 AM
브금임다
And we're ready and we're set for the Sao Paulo Grand Prix - F1 Sound Effect
YouTube video by ddaveandsounds
youtu.be
November 11, 2025 at 8:27 AM
엌ㅋㅋㅋ
November 11, 2025 at 8:27 AM
ㅋㅋㅋㅋㅋㅋㅋ
November 11, 2025 at 8:27 AM
으앗 ㅠㅠ
November 11, 2025 at 7:40 AM
November 11, 2025 at 7:20 AM
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
November 11, 2025 at 7:20 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