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돌
banner
awarmpebble.bsky.social
돌돌
@awarmpebble.bsky.social
물속의 돌
하늘수박이라고 한단다. 한 손에 쥐면 꽉 찬다. 남도 여행 중 논두렁을 지나다가 떨어진 것을 주워 왔다.
절기상 소설(小雪)이지만 따뜻했던 날, 반가운 분을 만나서 작은 초등학교 운동장을 한 바퀴 돌고, 얕게 흐르는 강 사이 길게 뻗은 둑길을 걸었다. 비슷한 호흡으로 도란도란 사는 얘기 하며 걷는 즐거움이 있다. 둘이 뒷짐 지고 걸으면서 고라니 우는 소리 같은 실없는 이야기로 깔깔깔, 그런 소소한 것들이 좋다. 지난 주말에 아름다운 길 위에서 멋진 여행을 했다.
November 25, 2025 at 12:24 PM
Reposted by 돌돌
올해 스물다섯살. 가장 눈부신 청춘의 정점에서 배우 김향기는 ‘한란’이라는 작품을 선택했습니다. 제주 4·3, 엄마 역할, 저예산 독립영화. 어느 하나 선뜻 고르기 어려운 조건을 그는 “시나리오가 술술 잘 읽히고 상상되는 지점들이 많아서” 선뜻 선택했습니다.
6살에 데뷔한 배우 김향기…`6살 아이 엄마'가 되다
박은빈, 김유정 등 꼬마 적부터 연기를 해오면서 아역 출신의 한계를 훌쩍 뛰어넘은 배우들이 늘었지만 그중에서도 김향기의 행보는 남다르다. 올해 스물다섯살. 측량할 수 있는 인생의 단계에서 가장 눈부신 청춘의 정점에서 그는 ‘한란’이라는 작품을 선택했다. 제주 4·3,
www.hani.co.kr
November 25, 2025 at 11:00 AM
지난주에 도서관 어린이 자료실에서 책 두 권을 빌려 왔는데, 그 중 이오덕 선생이 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며 펴낸 농촌 어린이 시집 『일하는 아이들』을 점심때 잠깐 열어봤다. 찡한 마음 한편, 어린이 마음을 알 것 같아 웃는다. 안동 대곡분교를 다녔던 김순교 님, 잘 지내십니까?
November 24, 2025 at 5:50 AM
Reposted by 돌돌
“가자지구, 살아있는 지옥 같아…한국 정부는 왜 지원 망설이나”
www.khan.co.kr/article/2025...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기준 가자지구에서 해외로 의료 후송이 필요한 환자는 1만5600명에 달하며 이 중 3분의 2가 아동이다. 김 활동가는 “의료 후송을 기다리는 환자들은 주로 전쟁 외상으로 인한 중증 환자나 암 환자”라며 “의학적으로는 치료를 받으면 살 수 있는 환자들”이라고 말했다."
“가자지구, 살아있는 지옥 같아…한국 정부는 왜 지원 망설이나”
가자지구에서 휴전이 발효된 지 6주가 지났다. 하지만 휴전은 일시적 상황일 뿐이라는 듯이 가자지구에서는 이스라엘군의 공습과 구호 물품 반입의 차단이 이어지고 있다. 휴전 이후에도 가자지구 재건을 위한 과제로 주민들을 살리기 위한 의료 수요 충족이 우선순위로 꼽히는 이유다. 지난 18일 서울 서초구 국경없는의사회 사무실에서 만난 김결희 국경없는의사회 활...
www.khan.co.kr
November 23, 2025 at 12:32 PM
날이 따뜻하다. 오래된 아파트 상아색 벽면에 아침 햇빛이 노랗게 덮이면 기분이 좋다. 아파트를 지나 골목으로 들어서니 낮은 언덕 따라 단층 주택이 죽 붙어있다. 일요일이라 조용하다. 스티로폼 화분에 부추꽃이, 낮은 담장 사이로 무화과가 아직 달려 있고 구성진 트로트가 흘러나온다. 창문을 열어둔 모양이다.
잔잔한 일상 좋구나! 맨날 햇볕 쬐면서 슬렁슬렁 돌아다니면 좋겠다, 고 생각하는데 쥐고 있던 부직포 주머니에서 거미 한 마리 튀어나와 손등까지 타고 올라갔다가 바닥으로 도망갔다. 숙소에서 거미를 데리고 나왔네. 일광욕은 잘 했니ㅎㅎ
November 23, 2025 at 3:28 AM
<인터내셔널가> 들어보시겠습니까?🙂
November 22, 2025 at 2:56 PM
Reposted by 돌돌
베트남 유학생 뚜안은 계명대 국제통상학과를 졸업하고 대학원 진학을 준비하고 있었습니다. 전공을 살려 취업하려고 했지만 6년 동안의 한국 생활에도 일자리를 찾기란 쉽지 않았습니다. 뚜안이 숨진 건 성서공단 한 자동차부품을 만드는 공장에서 일을 시작한지 2주째 되는 날이었습니다.
[현장] 대학원 꿈꾸던 25살 뚜안은 왜 숨어야 했나…대구에서 추모제
“한창 꿈꾸고 아름다울 나이에 아이가 억울하게 세상을 떠났습니다. 그런데 아무도 우리 딸 죽음에 대해 사과하지 않습니다.” 지난 20일 저녁 대구시 중구 씨지브이(CGV)대구한일 극장 앞, 베트남 유학생 고 뚜안(가명·25)의 영정 사진 앞에서 선 그의 아버지 부반숭(
www.hani.co.kr
November 21, 2025 at 7:08 AM
절 안쪽 햇볕 좋은 자리에 앉아 책을 읽는데, 옆자리에 영감님이 앉더니 무우전(無憂殿)! 크. 근심이 없다라! 멋지구만!! 큰소리로 지식을 뽐낸다. 갑자기 근심이 생기는군요. 하지만 그쪽은 그늘진 추운 자리여서 오래 앉아 있지 못한다. 다행이다.
『나이프를 발음하는 법』이라는 소설집을 읽고 있다. 태국 농카이 라오스 난민촌에서 캐나다로 건너간 작가의 자전적인 소설이다. 난민정착 프로그램을 거쳐 작가의 아버지가 첫 월급 받고 산 건 레코드플레이어였다. 할부로 전축을 샀던 아버지가 생각나네. 소설 내용이 잔잔하다. 천천히 아껴 읽어야지
November 21, 2025 at 8:33 AM
백팩에 간식 많이, 여분의 옷, 얇은 책 한 권을 넣었다. 새벽 기차를 타야 하는데 아직 안 자고 뭐 하니. 소풍 전날 밤 같네.🙂
November 20, 2025 at 2:17 PM
Reposted by 돌돌
【本日発売】大学の先輩が手書きで韓国語に訳してくれた吉本ばななの『キッチン』,茨木のり子の詩に重ねた民主主義への思い,ハン・ガンの初邦訳作品『菜食主義者』刊行の舞台裏――互いの国の物語をつないできた人々の情熱が,日韓文学の未来をひらく.出版社クオンの社長による,読むことへの愛と信頼に満ちたエッセイ!

金承福『本を作るのも楽しいですが、売るのはもっと楽しいです。──韓国の文学を届ける』☞ iwnm.jp/0617307
November 20, 2025 at 4:09 AM
Reposted by 돌돌
#TDOR #TransDayOfRemembrance
오늘은 트랜스젠더 추모의 날입니다.
혐오속에서 희생된 이들을 기리고, 우리들은 열심히 살아갑시다
현재도 혐오는 계속되지 않았지만, 희생된 이들은 우리가 끝까지 기억할 것이고, 이들이 없었다면 우리가 살아가기 어려웠겠지요.
November 20, 2025 at 1:03 AM
오래전 언니들에게 받아 보관만 해온 액세서리들을 처분했다. 쫄보라서 친구를 대동했는데 생각 못 한 목돈이 생겼다. 신나서 떡볶이와 생맥주 세트를 먹었다. 맛있는 거 사 준다니까 참나. 꽈배기, 붕어빵 많이 사 먹어야지. 신난다.
November 19, 2025 at 11:25 AM
언젠가는 마당 있는 집에 감나무를 심고 살아야지. 춥지만 맑은 날이었다.
November 18, 2025 at 12:50 PM
Reposted by 돌돌
교문 앞까지 찾아온 혐오… 최전선에 선 구로중학교의 분투기
www.sisain.co.kr/news/article...

"혐중 시위로 인해 상처받은 아이들이 있을까 봐 걱정됐다. 수업 시간에 슬쩍 얘기를 꺼냈더니 한 학생이 코웃음 치며 말했다. “한심하네요!” 당찬 대답에 박복희씨는 “빵 터졌다”. “제가 언젠가 아이들한테 농담으로 ‘우리말로 하라’고 했더니 ‘선생님, 우리말이 중국어일 수도 있잖아요’ 그렇게 말해요. 제가 실수했다고 사과해야 했죠. 아이들은 씩씩하게 지내요.”"
교문 앞까지 찾아온 혐오… 최전선에 선 구로중학교의 분투기
‘이주 배경 학생 30% 이상인 학교 전국에 350곳’ ‘다문화 학생 97%인 학교 등장’···.이주민 집중 거주지역의 학교들은 종종 느닷없는 관심을 받는다. 모든 맥락을 제거한, 20자 이내의 제목으로 압축된 이런 뉴스들 아래 댓글에는 한국이 망할 것이란 탄식부터 내국인이 역차별당한
www.sisain.co.kr
November 18, 2025 at 2:22 AM
함께 일했던 동료 중 몽골 친구가 있었다. 결혼 이주여성이다. 귀화 후 개명했는데, 원래 이름과 비슷하게 부르고 싶어서 부씨를 성으로 했단다. `언니, 제주 부씨가 있다면서요. 나도 부씨.' 차별의 공간에서 살기 위해 개명한 이가 제주도를 얘기하니 그 맥락이 어떤 면에서 가닿는다. 요즘 넷플릭스에 몽골이 핫하더라. 부씨 성을 쓴다던 동료, 사내 팔씨름 대회에서 나와 결승전을 벌였던 멋쟁이 동료도 생각나네. (잘 지내니? 난 요즘도 팔심이 세)
November 17, 2025 at 1:14 PM
독립운동가 100인 만화 프로젝트 중 여성 독립운동가 전월선, 부춘화 선생의 생애를 그린 책을 읽고 있다. 한 분은 조선의용대, 한국광복군으로 활동했고, 다른 분은 제주해녀 항일운동을 이끈 독립지사이다.

책을 보다가 건국훈장을 검색해 보았는데, 최고 등급인 대한민국장 수훈자 1번은 이승만이다. 1949년 광복절에 셀프 훈장 차고, 이듬해 전쟁 나자 도망간 인사다. 수훈자 명단에 독재자 3인이 모두 들어가 있다. 그중 한 명은 서훈이 취소됐다. 마지막 대한민국장 수훈자는 2021년 홍범도, 여성 독립운동가는 유관순 단 한 분뿐이다.
November 17, 2025 at 11:40 AM
Reposted by 돌돌
여성노숙인 지원센터 디딤센터 기부금이 줄고 있당... 혹시 기부할 곳 찾으시면 가끔 좋은일 하고 싶어질 때 디딤센터를 기억해주세욤.

blog.naver.com/opendidim
November 13, 2025 at 2:01 PM
Reposted by 돌돌
축구 근황: “이스라엘”이 월드컵 유럽 예선에서 탈락 했습니다. 어떻게 출전 할 수 있는지도 모르겠고, 심지어 유럽 예선을 나가고 있는 점도 이해가 안 가지만요. 아무튼 탈락 했습니다.
저번 A매치 기간 예선 경기에서 “이스라엘”을 5대 0으로 격파한 노르웨이는 축구협회 차원에서 경기 입장료 전액을 팔레스타인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위해 기부 했습니다. 이후 "이스라엘"은 가자 대량학살을 비판한 노르웨이 총리의 국빈 방문을 우연히도 거절 했습니다.
Haaland hat-trick helps Norway destroy Israel
Erling Haaland scored a hat-trick after twice being denied from the penalty spot, as Norway thumped Israel 5-0 to remain perfect in FIFA World Cup qualifying.
www.beinsports.com
November 17, 2025 at 12:35 AM
Reposted by 돌돌
‘따로 또 같이’ 지렁이를 구했습니다
www.khan.co.kr/article/2025...

"지연씨가 속한 꿈틀단은 지난 6월 서울환경연합에서 모집한 ‘지렁이 구조’ 모임이다. 66명이 꿈틀단에 가입 신청을 했고 이 중 55명 가량이 구조 활동을 벌였다. 대부분 3회 이상 지렁이를 구했고, 김씨처럼 한번에 5마리 넘게 구하는 단원도 많았다. 꿈틀단 공식 활동 기간인 6월 30일부터 8월 14일까지 최소 200마리 넘는 지렁이의 목숨을 구했다."
‘따로 또 같이’ 지렁이를 구했습니다
경기도에 사는 30대 활동명 ‘어년’씨는 경력 20년이 넘는 베테랑 구조 대원이다. 그의 활동 시기는 매년 6~9월 한여름, 구조는 혼자서 한다. 구조 장비는 나뭇가지 하나뿐이지만, 10초만 품을 들이면 생명을 구할 수 있다. 그가 초등학생 때부터 구조해 온 대상은 ‘지렁이’다. “비가 내린 날에는 평균 10마리 넘게 구해요. 비가 오지 않아도 촉촉한...
www.khan.co.kr
November 16, 2025 at 10:58 AM
장미가 특별히 예쁘다는 생각은 안 했는데, 어느 집을 지나다가 담장을 보니 장미도 예쁘네.
November 16, 2025 at 8:13 AM
정오에 동네 카페로 걸어가는 길 햇볕이 따뜻하다. 볕이 귀한 계절, 해를 등진 등과 목덜미가 따뜻하다.

어젯밤부터 편지로 이어진 사람들의 이야기를 읽고 있다.
세계대전 종전 후 신문 광고를 통해 미국의 독자가 영국의 작은 중고 서점에 책을 의뢰한다. 책 주문을 위한 편지는 서로의 안부를 묻는 내용으로 이어지고, 미국의 독자는 서점 직원들을 위해 물자가 귀한 영국으로 식료품 소포를 보낸다. 책과 달걀, 나일론 스타킹 같은 것들, 소박하지만 따뜻한 일상의 안부 인사가 편지로 오간다.
토요일 낮 카페에서 책 읽는 시간 좋구나.
November 15, 2025 at 4:31 AM
요즘 우리 동네는 인도에 도토리 천지다. 제법 추워진 밤에 집으로 걸어오면서 도토리 한 알씩 풀숲으로 차며 걷는다. 땅땅하고 동글동글 작고 귀여운 게 어떻게 이름도 도토리지.

저녁 먹고 선물을 포장했다. 별것 아니지만 그래도 보기 좋으면 기분도 좋지. 다람쥐에게 도토리 한 움큼 선물하는 마음 같은 거다. 부담 없이 즐겁게 주고 받으면 좋겠어.
November 14, 2025 at 11:55 AM
Reposted by 돌돌
건너건너 들은 소식.

성균관대학교 교지 중 하나인 정정헌이 학생투표로 동아리에서 퇴출되어(매우 심한 욕) 방을 비워주게 되었다고 하고. 그 책을 당장 내일까지 빼야하는 모양인데.... 거기 포함된 도서 중에는 김귀정생활도서관(여기도 이미 사라지고 없고)에서 넘어온 책이 많다고. 여성주의 교지에 성대 도서관이다보니 학생운동, 사회학 관련 무수한 절판도서도 있는 모양이라... 하... 일단 옮길 장소도 마땅히 찾지 못한 모양. 도움주실 분들을 찾습니다..ㅠㅠㅠ

x.com/1971femijjh/...
성균관대학교 여성주의교지편집위원회 정정헌 on X: "🕯정정헌 장례식 : 다시 태어나기 위한 중앙동아리 지위를 잃게 됨에 따라, 정정헌 편집실은 2025년 11월 17일자로 퇴거 절차를 밟습니다. 성균관대학교 내 여성주의 공간이 사라지는 것을 마음 깊이 애도하고, 정정헌의 역사를 성대하게 기리기 위해 정정헌은 장례식을 기획했습니다. (1/5) https://t.co/DuFxLEG27r" / X
🕯정정헌 장례식 : 다시 태어나기 위한 중앙동아리 지위를 잃게 됨에 따라, 정정헌 편집실은 2025년 11월 17일자로 퇴거 절차를 밟습니다. 성균관대학교 내 여성주의 공간이 사라지는 것을 마음 깊이 애도하고, 정정헌의 역사를 성대하게 기리기 위해 정정헌은 장례식을 기획했습니다. (1/5) https://t.co/DuFxLEG27r
x.com
November 13, 2025 at 10:01 AM
Reposted by 돌돌
사람들은 이주배경 학생이 학대당하거나 모욕당하지 않는 것만으로도 평등이 달성됐다고 생각했습니다. 아이들이 가지고 있는 꿈과 희망에 대해서는 무관심했습니다. 심지어는 그 꿈을 이루는 게 ‘불공정’이라고 생각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 로그인하고 읽는 경기도 이야기
‘우리말’이 어색한 공단의 아이들, 경기도 아이들, 우리 아이들
“선생님들이 다들 젊으시네요?” 지난달 경기도 안성시 구포동에 있는 안성초등학교를 방문했습니다. 이 학교는 제 모교이기도 합니다. 20년 넘게 흘러 방문한 학교는 벽돌은 그대로였지만 많은 부분이 달라졌습니다. 특히 교사 구성이 눈에 띄었습니다. 제가 다니던 시절에는 분
www.hani.co.kr
November 13, 2025 at 1:00 PM
Reposted by 돌돌
“여전히 이틀에 한 명, 여성이 죽는다”···검은 옷 입고 모인 114명의 여성들
www.khan.co.kr/article/2025...

"정부가 여성 살해와 관련한 공식 통계를 집계하지 않자 직접 언론 보도를 기반으로 수치를 정리하기 시작했다. 지난 3월 발표된 ‘2024년 분노의 게이지’ 보고서를 보면 친밀한 관계의 남성 파트너에게 살해된 여성은 181명에 달했다. 이틀에 한 명꼴로 여성이 살해된 셈이다."
“여전히 이틀에 한 명, 여성이 죽는다”···검은 옷 입고 모인 114명의 여성들
14일 오후 2시 서울 종로구 보신각 앞에 검은 옷을 입은 여성 114명이 모였다. 이들은 오와 열을 맞춘 뒤 상체를 늘어뜨리고 숨을 골랐다. 잠시 후 북소리가 울리자 맨 뒷줄의 여성들이 박자에 맞춰 몸을 일으켰다. “신고받고도 실패했다. 구속도 실패했다. 처벌도 실패했다. 더 이상은 안 된다.” 한 어절을 외칠 때마다 검은 몸들이 차례로 솟아났다. ...
www.khan.co.kr
November 14, 2025 at 8:19 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