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르모스(ゼルモス)
banner
zermoth.net
제르모스(ゼルモス)
@zermoth.net
푸른 빛으로 길을 개척하는 여행자
붕괴: 스타레일 필오프 캠페인

밤을 지새운 어제들로 우리가 사랑하는.내일을 맞이할 수 있기를
November 9, 2025 at 2:32 AM
퇴근하고 원신PC방 잠깐 들렸다가 굳즈 하나 충동구매함
November 8, 2025 at 1:56 PM
근래 배가 부르고 게을러져서 자전거 타고 긴 거리 이동은 안했는데 간만에 한강에 자전거 타러 나왔다
November 8, 2025 at 1:54 PM
Reposted by 제르모스(ゼルモス)
일제강점기 대전부 로고가 새겨진 맨홀 뚜껑
성모여중고 입구 근처에 있는 걸 찍었다

어떤 이들은 고작 35년 가지고 지금껏 얘기한다고 아우성을 내지만, 해방 80년을 맞은 오늘날에도 우리 곁에 이렇게 식민지의 흔적은 알게 모르게 남아있다

물적으로든 심적으로든
November 4, 2025 at 1:50 AM
오늘 일 좀 간만에 빡셌던터라 팀원끼리 모여서 한 잔 해씁니다
November 4, 2025 at 2:47 PM
왕꼬질냥 ㅠ
October 30, 2025 at 7:53 AM
간만에 요리로 배채웠다
October 26, 2025 at 1:50 PM
오늘은 주인공원 산책~
October 26, 2025 at 11:39 AM
Reposted by 제르모스(ゼルモス)
그거 아십니까. 케르베로스라는 이름이 우리말로 번역하면 "바둑이"라고 하던.
<시골강아지로 잘못 전생한 케르베로스>
October 22, 2025 at 4:30 AM
Reposted by 제르모스(ゼルモス)
이거 관련해서 현역시절 꽤 고생했던게 불발탄 관련 기록인데, 오히러 6.25당시 불발탄은 꽤 기록이 찾기 쉬웠습니다. 왜냐면 절대다수가 미공군인데(제가 공군출신인데 공군은 항공 불발탄만 일반적으로 관할함) 대충 6.25때 불발탄같다 싶으면 미공군에 자료요청하면 30분안에 회신이 왔죠. 몇년도에 뭐로 무슨폭탄 몇발쯤 떨어트렸다고.

반면 전후~90(!!)년대 불발탄 기록은 혼돈의 카오스였는데 이거 한국공군이나 여타기관이 기록을 안해둬서 왜 불발탄이 여기있는지 파악이 안되는 경우가 꽤 많았...
개인적으로 미군을 대단하다고 생각하는 이유중 하나가 기록을 무지 잘 해놨다는건데, 이 녹색 점은 6.25당시에 격추되거나 추락, 혹은 실종된 UN군 항공기의 위치를 다 표시해둔것임.

실제 가지고 있는 데이터는 더 많아서 어느 지역에서 공중전을 벌였고, 어느지역에서 폭격을 실시했고 이런것도 다 자료로 가지고 있고 여차하면 조회할 수 있음. 심지어 한국군한테도 제공 잘해주고 이거 조회해서 실제로 잘 써먹음

정작 한국군쪽은 자기 자료가 별로 없는건지 써먹으려면 알수가 없음. -_-;;
October 13, 2025 at 11:49 PM
쉬는날인데 회식땜에 회사간다 . . . 4일내내 행사끝에 술달렸으니 오늘은 1차만 가야지;
October 13, 2025 at 9:28 AM
Reposted by 제르모스(ゼルモス)
EUC-KR 시절에는 정말로 그랬다. 《언플러그드 보이 2》(1997)를 보면 지율이가 현겸이가 쓴 ‘꽯’을 보고 “이런 글자가 어딨어?”하고 놀란다. 이론상으로 가능한 한글 음절은 11,172자지만, 평소에 익숙하게 쓰는 (특히 활자로 볼 수 있는) 글자가 아니면 존재조차 상상하지 못했던 것이다.

그러니까 CP949와 유니코드가 보급되고, 아무리 희귀한 자모 조합이라도 컴퓨터로 입력할 수 있다는 인식이 충분히 퍼지고 나서야 한자어에 사이시옷을 넣을 수 있다는 발상이 나왔을 것이다.
October 11, 2025 at 9:02 AM
Reposted by 제르모스(ゼルモス)
건강 위해 제로 음료만 먹었는데⋯지방간 위험 높인다고?
n.news.naver.com/mnews/articl...

중국 쑤저우대 연구진이 베를린 소화기내시경 학회에서 발표.
인공 감미료가 첨가된 음료를 하루 250g 이상 섭취할 경우 지방간 질환 발병 위험이 60% 증가(설탕 음료는 47%)

연구진은 물이 최고다고 강조
건강 위해 제로 음료만 먹었는데⋯지방간 위험 높인다고?
제로 콜라 등 설탕 대신 인공 감미료를 사용한 음료를 마시면 지방간 발병 위험이 60%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미 CNN에 따르면 중국 쑤저우대 연구진은 이날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유럽 소화
n.news.naver.com
October 7, 2025 at 1:07 PM
퇴근하고 시간 좀 때우다가 서울역 준공 100주년 기념전 '백년과 하루'보러왔다.. 촌1것이 크고 큰 서울역에 오니까 길을 다 헤매네
October 5, 2025 at 2:57 AM
삼칠이 피규어 왔다.. 열차팀 피규어랍시고 와도 하필 대수송때 오네

작년 7월에 결제해놓고 어느새인가 까먹고 있었는데 그젠가 모르는 번호로 전화와서 받아보니까 사이트 휴면회원이라고 휴면회원 풀어주심 바로 발송해준다 해서 내가 뭘 샀었었나 한 몇 초 긴가민가했네
October 3, 2025 at 12:39 PM
오늘은 지부에서 밥도 얻어먹고 관리자님 카드로 커피까지 야무지게 사먹었다
October 3, 2025 at 4:07 AM
서코는 언제 또 했나? 싶은건데 일러페스는 못가는게 좀 아쉽네
October 3, 2025 at 4:07 AM
애인님이 원신카페 취소표를 용케 잡은덕에 이상태로 아야카 생일날 폰타인 테마로 바뀐 원신 카페까지 폰타인 아야카로 갔다옴..😇 의도한건 아닌데 일정이 이렇게 되네
September 28, 2025 at 4:13 PM
부천만화축제는 카미사토 아야카로 갔다왔어요
September 28, 2025 at 3:04 PM
그제는 연차쓰고 주류박람회 갔다왔다.. 🤣 옛날에는 술에 관심이 없었어서 이런거 올일 없었을거 같았는데 인생은 알다가도 모르는 것
September 28, 2025 at 11:32 AM
Reposted by 제르모스(ゼルモス)
이건 진짜 기재부가 기재부한 재정적 재해 레베루구만. 그 청사 사이즈 가이드라인 던져서 가축우리 같은 청사나 만들더니 서버실도 그지랄을 해놨나.
정부 서버 60㎝ 옆 리튬이온배터리…화재 막으려다 진짜 불 낸 국정자원
www.hani.co.kr/arti/area/ch...

"국정자원 관계자는 “배터리 이동 작업을 담당한 하도급 업체 직원이 전산실 전원을 내리고 배터리에 연결된 케이블을 끊는 과정에서 불꽃이 일었다”며 “사고 당시 배터리 분리 작업을 한 하도급 직원 외에 국정자원 직원 등 다수가 5층 전산실 안에 있었다”고 말했다. 배터리 분리 작업을 했던 하도급 업체 직원 1명(40대 남성)은 경상(1도 화상)을 입었고, 다른 인명 피해는 없었다."
정부 서버 60㎝ 옆 리튬이온배터리…화재 막으려다 진짜 불 낸 국정자원
국가 주요 전산시스템 정보를 담고 있는 서버와 화재에 취약한 리튬이온배터리 사이의 공간은 단 ‘60㎝’였다. 26일 저녁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전산실에서 발생한 화재는 ‘화재 취약성이 큰 국가전산시스템 문제’를 해소하려 배터리를 지하실로 옮기다가 화재로 이어졌다
www.hani.co.kr
September 27, 2025 at 4:48 AM
Reposted by 제르모스(ゼルモス)
요즘엔 쑥이랑 마늘 들어간 음식이 많아서 다행이야
September 27, 2025 at 2:24 PM
Reposted by 제르모스(ゼルモス)
진짜 욕하기 싫지만 ㅋㅋㅋ 뭔가 생활을 구성하는 서비스 전반에서 ㅈ같음을 느낌. ㅋㅋㅋ 네이버 블로그는 이제 광고가 지층을 쌓아버려서 과거에 만들어진 제대로 된 정보도 찾아볼 수가 없어짐. 카톡을 열어 보니 남이 등산 갔다온 사진으로 도배가 되어 있음. ㅋㅋㅋ 정말 피로함. 트위터 개악되며 ㅈ같음을 욕했지만 지금 보니 한국의 생활서비스 웹들이 훨씬 심함.
September 25, 2025 at 6:51 AM
Reposted by 제르모스(ゼルモス)
홍진호는 2와 뗄래야 뗄 수 없는 사이인가 보다
September 22, 2025 at 4:11 AM
Reposted by 제르모스(ゼルモス)
사람들이 착각하는게 새 도구가 나오면 기존 도구 쓰는 꼰대들은 어버버 하다 도태되는줄 아는데 그렇지가 않음. 복사기 팩스 처음 나왔을때도 그랬고 컴퓨터가 처음 나왔을때도 그랬고 이메일 나왔을때도 그랬음. 언어도 C++ 처음 나왔을때 제일 먼저 적응한게 C하던 양반들이고 C#나왔을때도 C++하던 양반들이 넘어감
애초에 도구라는게 "그렇게 만들어진다"
그렇지 않으면 애초에 채택되지가 않음
September 23, 2025 at 12:10 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