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ineering sooV
banner
afteryou.bsky.social
engineering sooV
@afteryou.bsky.social
Immersive x Interactive x Intimate Experience Producer | 딴 데도 관심 많음 | Find WiiLii | Missing Pictures | Nine VR | Ce& WannaOne VR with Sansar | Space X Girl | ex-GiiÖii | now Engineering6(aka. 이륙)
국내에서는 테슬라가 아직 전기차 구매 옵션이 되는 것인가? 일론 머스크를 지지하는 입장이라면야 모르겠지만.

"세계 30개국 전기차주 41%, '테슬라 불매'…12%는 중국산 기피" | 연합뉴스 share.google/qSGZ8oD16fe9...
"세계 30개국 전기차주 41%, '테슬라 불매'…12%는 중국산 기피" | 연합뉴스
(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임미나 특파원 = 전 세계 전기차 소유주 중 상당수가 정치적인 이유로 테슬라 차량 구매를 기피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
share.google
November 23, 2025 at 1:57 AM
Reposted by engineering sooV
출퇴근용이라면서 쉼표같은 소리를 한다는거 자체가 이게 유람선이라는 자백임
November 22, 2025 at 11:51 AM
Reposted by engineering sooV
Secret Cinema's next big consumer-facing project is rumored to be Barbie-themed and hitting the West End in summer 2026 deadline.com/2025/11/barbie-i...
‘Barbie’ Set For Immersive Experience In London
Barbie in BarbieLand, an immersive experience based on Greta Gerwig's film, is coming to London's West End next year.
deadline.com
November 22, 2025 at 5:29 PM
Reposted by engineering sooV
I've been keeping busy lately helping to develop biketerra.com, a browser-based virtual cycling app. Procedurally-built environments for real-world routes, which users can create for themselves and be ready to ride within seconds. If you have an indoor trainer, check it out!

Made with @threejs.org
November 22, 2025 at 7:09 PM
이 리뷰 좋다!
캐스린 비글로 감독의 신작 '하우스 오브 다이너마이트'의 리뷰가 게재되었습니다.

레베카 퍼거슨에 홀려 들어갔다가 감탄하고 나왔습니다. 강력한 텐션 조절은 물론이고, 시의적절하게 미 군국주의까지 비판하는 걸작.

본 영화는 7월 24일 넷플릭스에 공개됩니다.
omn.kr/2fkzd
미국 향해 날아오는 미사일, 이 영화가 던진 시의적절한 질문
(* 이 글은 영화의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폭풍 속으로>, <허트 로커> 등 걸출한 액션 영화의 연출을 맡으며 할리우드에 이름을 아로새긴 명감독 캐스린 비글로가 돌아왔다. 미국 본토를 향해 출처 불명의 미사일이 날아온다는 설정으로 이목을 끄는 <하우스 오브 다이너마이트>에 주목해야 ...
omn.kr
November 22, 2025 at 2:23 PM
Reposted by engineering sooV
<하우스 오브 다이너마이트> 보았다.

영화의 구성을 이야기 하는 것 조차 스포일러가 되기 때문에, 아무말도 하지 않겠다. 대신 이렇게 말 하겠다.

"어느날 세상이 멸망한다면 그 누구도 이유를 설명할 수 없을 것이다.

우리는 다이너마이트로 벽을 쌓은 집에서 살고있다. 그 벽이 우리를 지켜줄거라고, 우리가 그 벽으로 인해 안전하다고 믿으면서.

그렇기에, 어느날 세상이 멸망한다면 그 누구도 이유를 설명할 수 없을 것이다.

그 누구도.

그 누구도."
October 24, 2025 at 2:38 PM
Reposted by engineering sooV
<하우스 오브 다이너마이트>

18분 후 핵미사일이 도달할지 모르는 상황에서 백악관, 군사기지, 대통령실 세 시점을 교차해 보여주는 영화다. 그녀는 전쟁을 예전처럼 현장이 아닌 시스템으로 옮긴다. 대통령은 영웅이 아닌 대표성과 구조의 무게에 짓눌린 인물로, 리더십의 무력함을 상징한다. 주체가 모호한 공격, 오작동하는 정보망, 책임을 회피하는 권력 속에서 결말을 거부한다. 비글로우는 터지지 않은 폭탄같은 현실을 통해 언제든 일어날 수 있는 공포를 멈추지 않은 타이머처럼 제시하며, 이미 세계는 다이너마이트로 가득 찬 집이라 얘기한다.
October 26, 2025 at 10:37 AM
Reposted by engineering sooV
[하우스 오브 다이너마이트]
상황이 급박한 만큼 연출과 편집이 팽팽한 긴장감을 유지한다. 같은 상황, 다른 시점으로 세개의 챕터가 있는데 마지막으로 갈수록 호흡을 가다듬고 현상황과 앞으로 다가올 미래를 고민한다. 에필로그가 너무 간략하지만 새로운 희망이나 재앙의 나열이 없어서 오히려 어울리는 듯.
#캐서린비글로우
October 27, 2025 at 11:19 PM
Reposted by engineering sooV
와,, 하우스 오브 다이너마이트 끝나고 엔딩 크래딧에 캐서린 비글로우 나와서 깜놀하고 결말에 수긍했다. 진짜 반전이었다는,, 지구상에 폭탄이 이렇게나 많은데 안터지는게 용한거지. 이번에도 극도의 긴장 속에 몰아넣어졌고 숨도 못쉬고 봤다. 채썰면서 티비 본다고 혼남. 김치 담느라 놓친 장면이 많아서 다시 봐야겠다. 의식의 흐름으로 내일은 폭풍속으로,,
November 6, 2025 at 12:38 PM
Reposted by engineering sooV
넷플릭스의 하우스 오브 다이너마이트. 정말 재밌게 봤다. 비록 결말이 좀 찝찝하지만, 감독의 의도가 잘 드러난 영화라 생각.
November 7, 2025 at 5:11 AM
Reposted by engineering sooV
뽀로로 뭐임?
November 12, 2025 at 8:57 AM
하우스 오브 다이너마이트. 캐서린 비글로우스럽게 긴장감 터지는 영화긴 한데 이거이거 '북극성' 스텔라 영의 계획이 성공을 거두는 세계선의 이야기잖아. 거의 완전히 포개질 정도.

미사일 발사지점을 못 찾은 건 미국이 전혀 눈치채지 못하게 완성된 핵잠수함이기 때문인 것이고 어떤 협상 목적이 아니라 그냥 미국이 겁에 질려 전세계에 핵을 쏘게 만들 목적으로 미사일을 쏘는 것이고. 어떻게 이렇지?

정서경과 캐서린 비글로우가 서로 뇌를 연결했나?
November 22, 2025 at 1:19 PM
Reposted by engineering sooV
하우스 오브 다이나마이트는 자칫 잘못하면 지루해질 수도 있는 영화인데, 그 구성을 퍼즐 맞추는 것처럼 잘 해놔서 그 몰입도가 장난이 아닙니다. 퍼즐 난도가 높은 것도 아니라서 누구나 쉽게 맞출 수 있고, 맞춰지는 그림들이 하나같이 섬칫해서 이 퍼즐을 계속 맞춰야 하나 하는 고민에 빠지게 만드는 영화입니다.

그러니까 약간 분신사바 같은거죠. 하는 방법도 알고, 보통은 할 사람도 있고(없다면 나 홀로 숨바꼭질을 합니다.), 하면 안되는 것도 아는데, 할 수 있으니까 하고, 하기 시작하면 겁나서 울게 되는, 하지만 멈출 수 없는.
October 25, 2025 at 11:49 AM
Reposted by engineering sooV
몽골도 공산 독재가 있었는데 한국의 4.19 혁명 같은 (또는 천안문 시위같은) 민주화 시위가 일어나자 당시 집권당인 인민혁명당이 무력진압을 계획함. 하지만 당서기관(사실상 국가수반) 바트뭉후가 "니들 미쳤냐?"(진짜로 한 말) 를 시전하고 내각 총사퇴후 직접선거를 실시하여 평화적인 정권교체가 이루어짐. 인류 역사상 유례가 없는 무혈 민주화 혁명 되시겠다

자세한 내막을 알고 싶은 사람은 아래 글을 보자. 개인적으로 바트뭉후와 조릭의 대화는 민주주의에 대한 찬사 그 자체라고 생각함

www.dogdrip.net/388332487
November 21, 2025 at 5:31 AM
Reposted by engineering sooV
Hotel Infinity is a standout example of true room-scale VR, and a must-own for anyone interested in understanding the potential of this medium.

Read our full review: www.uploadvr.com/hotel-infini...
Hotel Infinity Review: A Standout Example Of True Room-Scale VR
Hotel Infinity is a standout example of true room-scale VR, and a must-own for anyone interested in understanding the potential of this medium.
www.uploadvr.com
November 21, 2025 at 6:51 PM
Reposted by engineering sooV
[오피셜] 구글 코리아에서 오신 분이 “제미니”라고 발음하심 …
November 22, 2025 at 2:26 AM
샘 알트먼. 와이컴비네이터 CEO였었네?! 그 샘 알트만이 이 샘 알트만이라는 걸 왜 모르고 있었지?
November 22, 2025 at 12:57 AM
Reposted by engineering sooV
결국 이게 사실이 되어 버리네. 데이비드 핀처까지도. 넷플릭스가 이 시리즈를 아끼는구나.

biz.heraldcorp.com/article/1062...
[단독]미국판 ‘오징어 게임’ 드디어 나온다…내년 2월 촬영 돌입
[헤럴드경제=손미정 기자] 전 세계적으로 신드롬적 흥행에 성공한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 게임’이 할리우드 버전으로 돌아온다. 오징어 게임 미국판은 내년 2월께 본격
biz.heraldcorp.com
November 21, 2025 at 9:56 PM
"별이 빛나는 밤에"가 8시로 시간을 옮긴다니. 이런 변화도 가능하구나. 주 청취자 층이 그 시간대에 더 많은 것인가.

m.entertain.naver.com/home/article...
김이나 '별밤' 2시간 일찍 만난다…MBC 라디오 개편 단행
m.entertain.naver.com
November 21, 2025 at 9:53 PM
Reposted by engineering sooV
2025년 미국인의 소셜 미디어 사용 현황

1. 유튜브 84%
2. 페이스북 71%
3. 인스타그램 50%
4. 틱톡 37%
5. 왓츠앱 32%
6. 레딧 26%
7. 스냅챗 25%
8. 트위터 21%
9. 스레드 8%
10. 블루스카이 4%

블루스카이 생각보다 높군요. 스레드 생각보다 낮은듯

Americans’ Social Media Use 2025 | Pew Research Center

www.pewresearch.org/internet/202...
Americans’ Social Media Use 2025
YouTube remains the most popular, but adults are increasingly using Instagram, TikTok, WhatsApp and Reddit. Use of some platforms varies by age, gender, and race and ethnicity.
www.pewresearch.org
November 21, 2025 at 9:24 AM
이분이 왜 여기 계시는가. 테츠 카츠야. 가지고 있는 하리오 드리퍼도 테츠 카츠야 에디션인데. 줄이 너무 길어서 이분이 직접 내리는 커피맛은 무엇인지 알수는 없었다.

서울카페쇼 엄청난 곳이었구나.
November 21, 2025 at 5:07 AM
최근 가톨릭으로부터 '성인'으로 공식 인정받은 카를로 아쿠티스에 대한 이야기. 나도 이 사람이 어떻게 '성인'까지 된 것인가 궁금했는데 성인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기적을 두 번 이상 일으키고 그 기적을 인정받는 게 중요한가보다. 아쿠티스가 일으킨 기적이 인정이 됐고.

근데 생전에 청소년이었던 그는 게임을 좋아했는데 '스스로' 게임시간을 1주일에 한 시간으로 제한했었다고. 불가사의한데.
The politics, theology, and hype behind the first gamer saint
aftermath.site/carlo-acutis-g...
November 21, 2025 at 12:56 AM
Reposted by engineering sooV
이 짤 갈수록 업데이트 되는 것이 웃겨서 주워옴 ㅋㅋㅋㅋㅋㅋㅋㅋ
November 20, 2025 at 2:40 PM
레제 편의 평점이 어마어마하구나. 근데 세계의 주인과 국보도 엄청 높네.
November 20, 2025 at 11:25 PM
위키드 : 포 굿 초반 한국 관객평점이 생각보다 낮네. 직접 보면 알겠지.
November 20, 2025 at 11:21 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