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너울
neoulshim.bsky.social
심너울
@neoulshim.bsky.social
인스타 @neoulshim
Reposted by 심너울
92. 왜 모두 죽어야 하는가 ('25.6월)
인공지능이 보편화되면서 바이오 제약 기술도 눈부시게 발전한 미래의 한국. 하지만 한국 사회는 여전히 한국적이다. 그 속에서 하루하루 살아가는 식약처 공무원에게 갑자기 내려진 비밀스러운 임무. 그 임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영원한 삶과 이를 누릴 수 있는 특권은 누구의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이루어지게 된다. 작가 특유의 한국 사회 묘사가 돋보이는 바이오 SF소설
July 13, 2025 at 3:02 PM
교보: 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
알라딘: www.aladin.co.kr/shop/wproduc...
Yes24: www.yes24.com/product/good...

*전자책은 당분간 예사 독점입니다.
June 2, 2025 at 6:57 AM
박한슬 작가님께서 좋은 추천사 남겨주셨습니다.
’우리는 이제 더는 미라를 만들지 않는다. 붕대로 죽음을 감추는 대신, 약으로 죽음을 피할 수 있다고 믿어서다. 심너울은 이 매혹적인 미래를 익숙하면서도 서늘하게 그려낸다. 인공지능 시대에도 우린 여전히 영원을 좇는 부나방이며, 그 불완전한 갈망이야말로 우리가 인간으로 남는 방식이다. 새벽에 마시는 짙은 커피 같은 진한 여운이 남는 소설.‘
June 2, 2025 at 6:57 AM
그것은 바로 실제로 작동하는 불사약입니다. 주사받으면 불멸을 약속받는 이 약. 분명히 이 약은 세상을 바꿔놓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 약의 생산은 굉장히 한정되어 있습니다. 있죠. 그런데 이 약은 도대체 어떻게 분배되어야 할까요? 생명은 그 누구에게나 하나뿐인 한정된 자원이며, 잃어버리면 다시는 돌이킬 수 없는 것인데요. 이 이야기는 서효원이 이에 부딪히는 일종의 보건 스릴러입니다.
June 2, 2025 at 6:57 AM
Reposted by 심너울
23. 일인칭 작가 시점 ('25.2월)
글 쓰는 걸 생업으로 한다는 건 어떤 삶일까. 그리고 그런 입장에서 세상은 어떻게 바라보게 될까? 창작자로서 살아가는 즐거움과 애환을 솔직담백하게 그려내면서, 뮤지컬, 게임, 만화 등 다양한 작품에 대한 고찰을 곁들인다.
May 11, 2025 at 3:14 PM
그리고 고스트라이터 일이라는게 꼭 정치인이 아니더라도 살면서 책 한 권 내보고 싶은, 그리고 판매량은 크게 상관없고 천 권 찍어서 주변 사람들한테 돌릴 생각인 적당히 자수성가한 사업가들이 클라이언트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클라이언트들이 책의 품질과 그 이야기의 진실성에 크게 신경쓰지 않습니다. 오히려 허구와 미사여구가 풍부한 신화적인 서사를 더 선호하지요.

제가 고스트라이터 일을 했다는 것은 아닙니다.
March 4, 2025 at 12:58 PM
정치인들은 말하는게 일이라서 한시간 인터뷰 하면 책 반 권은 쓸걸요. 근데 이제 인공지능 때문에 고스트라이터 일은 싹 사멸하겠군요
March 4, 2025 at 12:55 PM
고스트라이터 알바가 아마 인터뷰 세번 정도 하고 한 권에 삼사백 정도 할걸용
March 4, 2025 at 12:50 PM
보통 한 달 뒤에 읽고 수정합니다. 그런데 저는 수정을 많이 하는 편은 아닙니다. 다듬으면 다듬을 수록 글의 거친 면, 즉 작가의 개성이 깎여 나간다고 생각해서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January 29, 2025 at 2:09 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