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나가리라🎗️
banner
simplycomplex.bsky.social
지나가리라🎗️
@simplycomplex.bsky.social
이 또한 지나가리라

"나쁜 일이 파도처럼 밀려왔지만 도망가지 않았다" - 손정애
뉴스가치가 없다는 말씀으로 들리네요;;
November 13, 2025 at 2:38 PM
Reposted by 지나가리라🎗️
Ai 자체에 대한 긍정부정은 없고 어떠케 활용햇느냐에 따라 달른거같아용
채소 다지는 데 썻느냐 사람 찌르는 데 썻느냐의 차이 가틈
November 12, 2025 at 2:36 PM
Reposted by 지나가리라🎗️
제가 주기적으로 이야기하는건데

지금은 <AI로 무엇이든 해보세요!!!>하는 시기라서 모두가 AI에 환장해있지만, 이 다음 시기는 <<AI가 만든 가짜 정보를 가려내고 양질의 '진짜 정보'를 제공합니다!!!>>의 시대가 올 겁니다.

지금 AI만들겠다고 설치시면 늦었습니다.
[AI를 완벽히 걸러냅니다!]를 준비하셔야해요.
November 12, 2025 at 3:22 PM
역사적 과정 속에서 AI의 위치도 계속 변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어떤 학자들은 AI가 가치를 만드는지에 대해 단순히 예/아니오로 대답할 수 없다고 함. 어쨌든 일단 위 포스트에서 2번 입장을 취한 상태에서는 무슨 말을 해도 2번에서 벗어날 수 없을 것 같음;;;
November 13, 2025 at 2:43 AM
(1) AI가 가치와 잉여가치를 만든다는 입장과 (2) AI가 가치를 만드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AI를 위한 인간의 노동이 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으므로 인간의 살아있는 노동만이 가치를 만든다는 입장으로 나뉜다고 함.
November 13, 2025 at 2:43 AM
"그러나 다이어-위데포드의 가정법을 노동가치론이 폐기되어야 한다는 주장으로 읽어서는 안 된다." 92쪽

"중요한 것은 인공지능이 잉여가치를 스스로 만들 수 있다/아니다가 아니라, 생산력 차원에서나 상쇄 요인 차원에서나 잉여가치를 만드는 데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인정하고 새로운 관계맺기를 시도하는 것이다." 93쪽

인공지능이 잉여가치를 만들 수 있는지에 대한 답이 궁금했는데;;;
November 13, 2025 at 2:42 AM
"다이어-위데포드는 여기에 재미있는 가정을 덧붙인다. 그는 ‘인간만이 의식을 가지고 합목적적으로 수행하는 노동’이라는 맑스의 공리에 가벼운 반기를 들면서, AGI가 ‘재귀적인 자가 개선 과정의 무한 반복’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불변자본이 아니라 ‘노동하는 기계’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타진한다." 91쪽
November 13, 2025 at 2:42 AM
"이 글은 고전을 검토하고 마르크스주의 정치경제학의 이론적 틀에 기초하여 인공지능 시대에 노동가치론의 의미를 재검토함으로써 마르크스의 노동가치론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그 타당성에 대한 의구심을 해소하며 그 내용의 실제적 설명력을 높이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deepl로 번역한 논문 초록
November 13, 2025 at 2:41 AM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역사를 추적하는 본 연구는 1980년대 이후 경제학계가 새로운 기술 혁명의 맥락에서 “기계가 가치를 창출한다”는 주장과 “고전적 노동 가치 이론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는 주장에 과학적으로 대응해 왔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수년에 걸쳐 새로운 아이디어와 설명이 제시되었습니다."
November 13, 2025 at 2:41 AM
"최근 인공지능의 맥락에서 가치 노동 이론에 대한 연구가 사회적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습니다. 학계에서는 ‘인공지능 맥락에서의 가치 창출’, ‘인공지능 시대 가치노동이론의 적용 가능성’, ‘인공지능과 인간 노동의 발전 추세’ 등의 주제를 중심으로 새로운 논의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핵심 쟁점은 인공지능 시대에 고전적 노동 가치론이 쓸모없어졌는가 하는 것입니다. 동시에 여러 주요 이론적 쟁점에 대한 합의가 아직 부족한 상태입니다."
November 13, 2025 at 2:40 AM
헉 그 와중에 시뮬레이션까지… 대단하셔요ㅎㅎ
November 12, 2025 at 11:30 AM
무엇보다 왜 꼭 사람들을 줄을 세워야 하는지... 줄을 세우지 않고 모두 행복할 수는 없는 것인지... 수십년 째 해결되지 않는 질문
November 12, 2025 at 8:53 AM
그런데 그런 '암기'도 시험점수 받으려고 했던 거지, 외우지 못해도 그만인 것 같고. 물론 외워두면 쓸 때 편한 건 있으나 실제 연구에서 큰 차이를 만들지는 않음.
November 12, 2025 at 8:35 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