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기감도 좋은 편이라고 느꼈고, I7 rtx4060 데스크탑의 성능은 못따라가지만 사이즈가 큰 작업물도 잘 버텨주는 편이다. (울트라7, 32g메모리 기준)
가벼운 3d작업도 무리 없이 가능했다.
아주 심한 정도가 아니면 스크린 색감에 예민하지 않은 나의 기준으로는 색감도 좋은 편이라고 생각한다. 옛날의 빨간 삼성 스크린은 아닌 듯
요즘 메인 기기로 잘 사용중이다.
작업 규모가 커지면 어쩔 수 없이 발열과 팬소음이 생겨서 신티크처럼 데스크탑에 물려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 며칠간 찾아봤는데
공통적으로 Windows-Windows 연결은 전부 무선 연결이었고 소프트웨어마다 성능 차이는 있지만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화면 송수신이 오락가락해서 불안정함
1. 윈도우 자체 기능(프로젝션)
-데스크탑 메인보드가 무선랜을 지원하는 모델이 애니면 랜카드 꽂아야함
-딜레이가 작업에 지장이 생길 정도로 있음(랜카드 성능에 따라 다를 수도 있음)
필기감도 좋은 편이라고 느꼈고, I7 rtx4060 데스크탑의 성능은 못따라가지만 사이즈가 큰 작업물도 잘 버텨주는 편이다. (울트라7, 32g메모리 기준)
가벼운 3d작업도 무리 없이 가능했다.
아주 심한 정도가 아니면 스크린 색감에 예민하지 않은 나의 기준으로는 색감도 좋은 편이라고 생각한다. 옛날의 빨간 삼성 스크린은 아닌 듯
요즘 메인 기기로 잘 사용중이다.
작업 규모가 커지면 어쩔 수 없이 발열과 팬소음이 생겨서 신티크처럼 데스크탑에 물려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 며칠간 찾아봤는데
공통적으로 Windows-Windows 연결은 전부 무선 연결이었고 소프트웨어마다 성능 차이는 있지만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화면 송수신이 오락가락해서 불안정함
1. 윈도우 자체 기능(프로젝션)
-데스크탑 메인보드가 무선랜을 지원하는 모델이 애니면 랜카드 꽂아야함
-딜레이가 작업에 지장이 생길 정도로 있음(랜카드 성능에 따라 다를 수도 있음)
작업 규모가 커지면 어쩔 수 없이 발열과 팬소음이 생겨서 신티크처럼 데스크탑에 물려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 며칠간 찾아봤는데
공통적으로 Windows-Windows 연결은 전부 무선 연결이었고 소프트웨어마다 성능 차이는 있지만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화면 송수신이 오락가락해서 불안정함
1. 윈도우 자체 기능(프로젝션)
-데스크탑 메인보드가 무선랜을 지원하는 모델이 애니면 랜카드 꽂아야함
-딜레이가 작업에 지장이 생길 정도로 있음(랜카드 성능에 따라 다를 수도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