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eum Jeong 정아름
banner
areum.bsky.social
Areum Jeong 정아름
@areum.bsky.social
👩🏻‍🏫 Korean film, pop culture, theatre & performance @arizonastateuni.bsky.social
📚 Beyond the Sewol (U of Hawaii Press, Sept 2025) & K-Pop Fandom (@uofmpress.bsky.social, Feb 2026)
📧 areumjeong@gmail.com
Pinned
Both my books are available for pre-order now! 📚🎗️💚

uhpress.hawaii.edu/title/beyond...
(All royalties will be donated to Sewol non-profits.)

press.umich.edu/Books/K/K-Po...
(All royalties will be donated to non-profits focused on animal rights, environmental issues, or human rights.)
My forthcoming book on K-pop fandom looks at how parasocial relationships in K-pop today can be viewed as asymmetrical relationships -- never entirely one-way, but in many cases, two-way, asymmetric-yet-mutual attachments 💞
The Cambridge Dictionary has chosen “parasocial” as its Word of the Year for 2025.
November 20, 2025 at 5:58 AM
Reposted by Areum Jeong 정아름
The Cambridge Dictionary has chosen “parasocial” as its Word of the Year for 2025.
November 19, 2025 at 9:48 PM
Reposted by Areum Jeong 정아름
#블친소 #일상계_블친소

신문과 미술관에 사진 하는 사람. 미술(관)을 사랑하며, 사진을 전공하고 미학을 공부합니다.

민주노총 금속노조 조합원입니다.

아래 사진은 제가 찍었습니다.

<사진설명>
1. 노량진역
2. 서울시립미술관 <2025 타이틀매치 장영혜중공업 vs 홍진훤> 전시 전경
3. 노조법 2•3조 개정 투쟁 기자회견
4. 국회의사당
November 19, 2025 at 10:43 PM
Reposted by Areum Jeong 정아름
My first monograph, 'Between Novel and Network: Technology and Literary Form in Fiction and Fanfiction', will be published by
@lsupress.bsky.social on 16 May 2026!

It connects contemporary fiction, fanfiction and literary theory.

See lsupress.org/978080718642... for more details.
November 19, 2025 at 5:34 PM
Reposted by Areum Jeong 정아름
Now free. Tae Heung “Will” Kim, a doctoral student at Texas A&M University and longtime U.S. permanent resident, Korean American scientist with a green card, is finally out of ICE detention after 3 months.

Thank you @ruemcclammyhand.bsky.social for keeping us all informed!
November 16, 2025 at 4:38 PM
Reposted by Areum Jeong 정아름
This is a 52-pound 9000+ page accordion-bound artist’s book of Donald Trump’s lies, conceived, printed, and bound by Jill and Ray Nichols of @leadgraffiti.bsky.social in Delaware. Each of the 9000 pages has the text (per the Washington Post) of one or more of Trump’s lies; none are repeated.
November 15, 2025 at 7:09 PM
케이팝 책에 들어가지 않은 팬 노동은 인형(어느 챕터에 넣기도 애매해서... 끼워 넣으려면 챕터 3에 넣어야 하는데 애매해서 뺐다), 콘서트(예매와 준비 및 콘서트 당일 나눔, 떼창, 빠순 뒤풀이 및 토크 등... 이미 훌륭한 연구가 너무 많아서 굳이 내가 덧붙일 게 없다), 그리고 팬픽인데 (할 말이 너무 많아서 이건 따로 책으로 내야겠다),
인형에 대한 글은 내년 초에 Fashion, Style and Popular Culture를 통해 세상에 나온다. 툥야와 툥야 친구들, 학술지 게재 확정 축하! ᑦ(◕ ̫ ◕⁎)ᐣꕤ*.゚
November 15, 2025 at 6:28 PM
정말 오랜만에 할 일 다 해치우고 급하게 해야 할 일이 없는 주말- 운동하고 내년 학회 발제문 써야지 🌵🌴☀️
November 14, 2025 at 7:48 PM
Reposted by Areum Jeong 정아름
✨Hello friends, I'm launching #EmergentGenders @dukepress.bsky.social next month in Busan 🇰🇷 hosted by @thekpopprof.bsky.social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Global Studies Department

📅 Dec 9 (Tues)
🕰️ 10:30am (GMT+9)
📍 PNU CEIT #203 & Zoom
📧 TheKpopProf@gmail.com (for Zoom link)
November 12, 2025 at 8:50 AM
Reposted by Areum Jeong 정아름
배우 오영수(81)씨의 강제추행 혐의가 1심 징역형 집행유예에서 2심 무죄로 뒤집힌 가운데, 이 사건 피해자가 “성폭력의 발생 구조를 굳건히 하는 데 일조하는 부끄러운 선고”라며 “사법부는 이번 판결이 사회에 어떤 메시지를 주는지에 대해 책임감 있게 성찰해주시길 간곡히 바란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오영수 2심 무죄에 피해자·단체 “부끄러운 선고”
배우 오영수(81)씨의 강제추행 혐의가 1심 징역형 집행유예에서 2심 무죄로 뒤집힌 가운데, 이 사건 피해자가 “성폭력의 발생 구조를 굳건히 하는 데 일조하는 부끄러운 선고”라며 “사법부는 이번 판결이 사회에 어떤 메시지를 주는지에 대해 책임감 있게 성찰해주시길 간곡히
www.hani.co.kr
November 12, 2025 at 5:30 AM
Front and back cover 🥹💚
November 10, 2025 at 7:40 PM
2025 American Society for Theatre Research annual conference in Denver, CO ✈️

Flight delayed due to govt shutdown 🙁
November 8, 2025 at 12:00 AM
미국은 벌써 크리스마스🎄
November 4, 2025 at 5:12 AM
동네 산책 🌵🌈
November 4, 2025 at 1:40 AM
Reposted by Areum Jeong 정아름
We strongly condemn @CondéNast’s consolidation plans for Teen Vogue, a move that is clearly designed to blunt the award-winning magazine’s insightful journalism at a time when it is needed the most. More from our statement:
November 3, 2025 at 11:24 PM
Reposted by Areum Jeong 정아름
I was laid off from Teen Vogue this week, alongside multiple other phenomenal team members.

At our Summit, I was asked how it felt to be 1 of 2 Black women left and what that meant for representation. Now, there are no Black women at Teen Vogue and that is incredibly painful to think about.
November 3, 2025 at 11:57 PM
Reposted by Areum Jeong 정아름
도시에서 가장 낮은 곳, 반지하엔 빗물과 절망이 고입니다. 2022년 8월 서울에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졌을 땐 여지없이 반지하로 빗물은 흘러갔고, 네 명이 빗물에 잠겨 세상을 떠났습니다. ‘위험거처’에는 도시의 비싼 집값을 피해 취약계층이 모여 있습니다. “반지하가 내 무덤”이라는 위암 말기의 남성과 “반지하에서 더는 못 살겠다”고 집 떠난 딸을 기다리는 여성의 눈에서는 희망이 읽히지 않았습니다. 반지하에서의 사고는 끊임이 없지만, 반지하에는 여전히 40만 가구가 삽니다.
“반지하 방이 내 무덤”…폭우 참사 3년 지나도 떠나지 못한 사람들
반지하 네 가구 심층 인터뷰… 주거안전 낮아 정신건강에도 악영향
h21.hani.co.kr
November 3, 2025 at 8:00 AM
Reposted by Areum Jeong 정아름
웹사이트의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도 여러모로 질문을 하는데 실제로 사이트에 들어가 보니 가독성이 기성 언론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좋음.
읽는 데 걸리는 시간 표기 같은 세세한 부분을 챙긴 것도 그렇고 출처에 대한 꼼꼼한 표기며 하이퍼링크 같은 것도 정말 기본 중의 기본이지만 솔직히 기성 언론 중에 이만한 가독성과 기본기를 갖춘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가 있나 싶음.
게다가 클릭수 올리려고 아무데나 밈이나 유행어 쓰는 기성 언론 기사 제목과 정련된 제목의 토끼풀 기사 제목을 보면 더 할 말 없고.

www.tokipul.net
토끼풀
청소년들이 직접 만드는 독립언론 토끼풀입니다.
www.tokipul.net
November 2, 2025 at 4:49 AM
Reposted by Areum Jeong 정아름
#Frankenstein’s monster endures for a reason: because he incorporates many different fears & fantasies, many different theories & possibilities of monstrosity. Indeed, Junji Ito’s interpretation of the Creature embodies each of Jeffrey Jerome Cohen’s “seven theses” about what makes a monster. 1/15
November 3, 2025 at 3:31 PM
Reposted by Areum Jeong 정아름
thank you for all the support; the statement from our union is now live here with some more reporting.

now that this is public I can confirm that the majority of today’s layoffs were women of color. there are no longer any Black women working at Teen Vogue.
November 3, 2025 at 11:25 PM
Gave a talk on Han Kang's Human Acts to the local community at Changing Hands Bookstore 📚
November 2, 2025 at 1:55 AM
Our panel K-pop Fandom(s) and Authenticity will take place Saturday, March 14, 2026, 2 pm-3:30 pm at the 2026 Association for Asian Studies annual conference! I will present on 1st gen K-pop fanfic that represents the Gwangju Uprising! See you in Vancouver! #AAS2026

어르신들 앞에서 셩디 팬픽 이야기하기... 😅😂
October 31, 2025 at 11:52 PM
Reposted by Areum Jeong 정아름
10월29일 오전 10시29분. 서울 전역에 울려 퍼지는 추모 사이렌 소리에 광화문 광장을 지나는 시민들이 발걸음을 멈췄습니다. ‘10·29 이태원참사 3주기 기억식’이 열린 서울 종로구 광화문 광장에는 1분간 이어진 사이렌 소리 외에는 정적이 흘렀습니다.
10시29분 울린 사이렌 소리…“그날 국가는 없었다”
29일 오전 10시29분. 서울 전역에 울려 퍼지는 추모 사이렌 소리에 광화문 광장을 지나는 시민들이 발걸음을 멈췄다. ‘10·29 이태원참사 3주기 기억식’이 열린 서울 종로구 광화문 광장에는 1분간 이어진 사이렌 소리 외에는 정적이 흘렀다. 참석자들은 자리에서 일어
www.hani.co.kr
October 29, 2025 at 6:07 AM
Reposted by Areum Jeong 정아름
런던베이글뮤지엄에서 일하던 노동자가 숨지기 일주일 전부터 주80시간에 가까운 노동에 시달리다 숨졌다는 의혹이 제기된 가운데, 일부 독립서점들이 창업자 료의 산문집을 ‘산업재해’ 코너에 배치하는 등의 방식으로 추모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 책방이 목소리 내는 방식
hani.com/u/MTA1MDE
October 29, 2025 at 3:00 AM
Reposted by Areum Jeong 정아름
참사 당시 이태원1동에는 시민 7만여명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참사 당일 지하철 6호선 이태원역에서만 13만명이 타고 내렸습니다. 그중에는 참사 전후 기관들의 허술한 대응과 면피를 직접 목도하거나, 트라우마에 시달린 이도 적잖을 것입니다. 유가족들은 이 모든 이들의 시선이 진상규명, 애도, 치유의 주체여야 한다고 말합니다.
이태원 참사 3주기…그날의 진실을 찾아 당신의 목소리를 기다립니다
( ☞한겨레 뉴스레터 H:730 구독하기. 검색창에 ‘h:730’을 쳐보세요.) 3년 전 10월29일 찍은 ‘셀카’ 속 강미선(가명·30)씨와 친구들은 서울 이태원 거리를 배경으로 핼러윈 분장을 한 모습이다. 촬영 시각은 밤 9시52분, 그로부터 20여분 뒤 사위는 참
www.hani.co.kr
October 29, 2025 at 1:00 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