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ingsince
banner
beingsince.bsky.social
beingsince
@beingsince.bsky.social
At the crossroads of urban policies and data-
keep out of direct light and store in a cool, dry place

urbanotters.github.io
방바닥.. 먼지.. 닦는다..
August 20, 2025 at 8:56 AM
(방바닥 쓰는 소리)
May 26, 2025 at 9:04 AM
짧게. 이번 구로 재보궐에서 자유통일당 득표가 많이 나온 지역이 수궁동, 그중 1투에 연세중앙교회가 있음. 생활권으로 따지면 수궁 1,2,3투와 오류1동 2,3,4투정도까지가 같은 생활권. 경인로가 꽤 큰 도로라, 경계가 된다. 오류1동 1/5투랑은 생활권이 갈리는 편. 수궁 456은 온수역이 가깝고.
April 3, 2025 at 5:22 AM
사실 '한국식 남성성'의 정점에 가까운게 노무현/문재인 전 대통령인데(군필, 사시합격, 마초이즘-애처가) 이걸 인정을 못하는데서 (20대)남성 롤모델의 많은 것들이 빠그러지는게 아닌가 싶고..
February 16, 2025 at 1:21 AM
Reposted by beingsince
서울의소리-윈지코리아에서 가상번호-ARS 방식으로 영남권에만 전화를 걸었는데 불일치율 51.7%였다고. 참고로 2019년 연구로는 전체적으로 19~22%정도 불일치율이 나타났었다고 함. (꼭 속여서라기보다는 통신사 정보를 이용하는 가상번호의 원리상 불일치는 충분히 있을 수 있음)

기타 자세한 여론조사 이론 이야기는 이곳에서:
kivoloid.notion.site/194512210ea7...
February 14, 2025 at 1:15 PM
February 14, 2025 at 8:32 AM
Reposted by beingsince
그런데 정말, 조사기관까지 "강원/제주"의 등락 소숫점 퍼센트 포인트로 보도자료 만들거나 그러는거 정말 얼마나 여론 표집에 관심이 없는지 보여주는 바로미터란 생각이 들어요. 그런 면에서도 조사 자체는 꼼꼼히 하는 NBS가 도표들에 강원/제주 묶어 넣는것이랑, 갤럽은, 소표본주의 등으로 아예 수치 자체를 넣지 않는데서 업력의 차이가 느껴진다고 할까요. 진짜 이런 차이들 널리널리 알리는게 중요...
February 13, 2025 at 4:08 PM
Reposted by beingsince
내가 갤럽만 "믿겠다" 이런게 아님. 내가 의존하는 데이터생산자가 얼마나 디테일에 신경쓰느냐를, 마치 내가 상품들 고를 때, 마감 어케 했냐를 통해 품질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것. 방송서 공장 등등 비유를 드셨는데, 우리나라 품질보증 기준은 너무 낮고 (나쁜 품질에도 여심위KS마크 붙여줌) 중요 대목에 불량식품에 배탈나는 경우 넘 많음.
February 13, 2025 at 4:13 PM
oh my.
February 13, 2025 at 3:26 PM
5년 전..에 그렌펠에 다녀왔구나. 출장으로 갔다가 반나절 시간이 비어서.
February 11, 2025 at 10:14 PM
아무리 뜯어봐도 이거 진짜 잘 쓰여졌음.. 일단 여기저기 소개하고, 뭘 보완할지 고민해봐야..

kivoloid.notion.site/194512210ea7...
여론조사 해석의 기초 | Notion
들어가며 - 여론조사의 해석이 중요한 이유
kivoloid.notion.site
February 10, 2025 at 4:05 PM
Reposted by beingsince
kivoloid.notion.site/194512210ea7...
<여론조사 해석의 기초> 초고 완성했습니다. 혹시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위 주소를 사용해 주시면 됩니다!

cc. @nobody-indepth.bsky.social @beingsince.bsky.social
February 8, 2025 at 6:56 AM
끆 이제 다음 마감을 향해..
February 6, 2025 at 10:54 AM
눈이 무슨;
February 6, 2025 at 7:26 AM
한글은 한뼘도시를 유지하는 것이 맞는가.. 인데 어렵구만..
#minidosi #미니도시 로 개명. 곧 뭔가가 나올지도..?
February 1, 2025 at 4:01 AM
#minidosi #미니도시 로 개명. 곧 뭔가가 나올지도..?
January 31, 2025 at 6:31 PM
Reposted by beingsince
전화여조로 다들 관심이 있는 가운데 한 가지를 그냥 가볍게 얘기해보고자 한다.

무엇이 "과표집"인가? 한 가지 단서는 최소한 여조가 지역/연령/성별 인구집단에 비례해서 표집을 했는지 안 했는지 물어보는 것이다 (필요조건이지 충분조건 아님).

2021년 12월부터인가, 여심위에선 모든 등록 여조에게, 지역/연령/성별 응답자수와 가중사례수를 반드시 보고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통해, 전화여조가 얼마나 해당 인구집단(예컨대 20대 경인지역 여성)을 1천명 여조에 인구비례에 맞게 채웠는지 조금은 감안해볼 수 있다. 1/
January 26, 2025 at 9:32 PM
Reposted by beingsince
여론조사꽃 여심위에 두 개 조사가 등재되었길래, 또다시 ARS/RDD 추가하려고? 했더니, 진짜 *3일(!!!)* 면접조사/가상번호로, 질문문항효과 아마 파악하기 위한 여조 돌렸네. A는 딱 정당지지만, B는 맨날 하던 식으로. 진짜 (기성언론들의 김어준에 대한 태도 대비) 아이러니하다. 이건 기성언론들보다 정말 진심으로 돈 들여서 실험하는 자세니까. 리스펙트. 당연 짧은 조사 협조율이 더 높았고, 아마 정당지지 등 효과 보여주겠지. 그런데 특기할건 물론 조사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았지만 여전히 갤럽/NBS응답률 수준 아님.
January 26, 2025 at 3:02 AM
Reposted by beingsince
보수라고 응답한 이들의 표본구성이 늘어난 상황에서 왜 횡보에 가까운 결과를 보였는가? 보수라고 응답한 사람들 중에서 탄핵을 반대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계속 올라가지 않았다. 고점을 찍었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주목해볼만한 것은, 대선 직후 보수층의 윤 지지세는 거의 회복되었다면, 진보나 중도쪽의 지지세는 여전히 바닥인 상황인 것. 이것을 거친 말로 "공세종말점"이라고 표현해봤다. 3/
January 24, 2025 at 4:22 AM
Reposted by beingsince
갤럽도 조사의뢰자, 예산제약 같은 여러 이유들때문에 일부 하루짜리 조사들도 진행된 것들 목격하고 그랬지만, 대중에게 이런 내용들을 무료로 공개해 여조읽기 식견을 제공해준다는데에서, 적어도 난 빚을 졌다고 늘 생각한다. 온갖 메타 분석 사이트들이 명멸해버린 배경에, 얄팍하게 승패만 관심있거나 나아가 치어리딩으로 여조를 치부하는 마당에 오래 속된 말로 곤조 유지하시길 바랄 뿐이다.
January 24, 2025 at 3:17 AM
Reposted by beingsince
bsky.app/profile/bein... NBS는 가상번호로 20년 시작부터 진행했지만, 갤럽은 23년까지 면접/RDD를 고수하며 왜 가상번호가 아닌지를 이야기하다가, 환경이 악화되자 부득불 방법을 바꾸면서 자세히 설명을 하고 ( www.gallup.co.kr/gallupdb/col... ) 후속으로 RDD시절 했던 분석들을 가상번호 전환 후 다시 게시했고 (예: www.gallup.co.kr/gallupdb/col...) 여타 조사들서 수행하는 RDD와 계속 비교 중이라고 한다. 이런 업력신호를 인정하는데서 여조보도 시작해야.
January 24, 2025 at 3:13 AM
금과옥조. 동일 방법론의 연속성 유지에서 나오는 강건함.
January 24, 2025 at 2:52 AM
서울역 일대 #한뼘도시 #palmcity
January 23, 2025 at 7:15 AM
남산 위의 저 농담곰
January 22, 2025 at 10:58 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