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선 정치, 시사 위주고 사진 등 다른 주제는 연합우주를 주로 합니다.
주 계정은 @pkgupdt.hl.pkgu.net.ap.brid.gy 로 브릿지되어 있습니다.
I mostly post in Korean, but I can communicate in English and Japanese. 日本語もできます。
Blog: https://pkgu.net
Fediverse: @pkgupdt@hl.pkgu.net
1. 천일동안 (이승환)
2. 1994년 어느 늦은 밤 (장혜진)
3. 다만 (이승환)
4. 너무 다른 널 보면서 (이소라)
5. 다시는 내게 (원미연)
youtu.be/aeKIXxIrHTU?...
1. 천일동안 (이승환)
2. 1994년 어느 늦은 밤 (장혜진)
3. 다만 (이승환)
4. 너무 다른 널 보면서 (이소라)
5. 다시는 내게 (원미연)
youtu.be/aeKIXxIrHTU?...
n.news.naver.com/mnews/articl...)
일부 학교선 ‘채식의 날’ 운영
육식 탈피·탄소배출 감축 명분
축산업계·전문가 우려 목소리
육식에 대한 부정적 인식 조장
성장기 영양 불균형 초래 지적
아이고.. 복잡한 기분.
n.news.naver.com/mnews/articl...)
일부 학교선 ‘채식의 날’ 운영
육식 탈피·탄소배출 감축 명분
축산업계·전문가 우려 목소리
육식에 대한 부정적 인식 조장
성장기 영양 불균형 초래 지적
아이고.. 복잡한 기분.
홀린듯이 가게에 따라들어감
석굴암미피가 있었슨
겟했슨
홀린듯이 가게에 따라들어감
석굴암미피가 있었슨
겟했슨
클라우드플레어가 일본에서 만화 해적 사이트를 CDN하면서 관련 서비스 정지를 소홀히 한 행위를 일본 법원이 방조로 보아 저작권자에게 손해배상 하도록 하는 1심 판결을 했다고.
사실 관계는 더 자세히 봐야겠지만 크플이 접속 차단 등 외부 요청에 매우 소극적(대부분 무시)로 대응하는 정책에 경고를 날리는, 주목할만한 판결이다. 감시하면서 선제적으로 대응할 의무야 없다지만 권리자나 피해자가 요청하면 응해주긴 해야지. 월 3억 뷰가 뜨는데도 중개만 한다며 나몰라라 해선 안 된다.
클라우드플레어가 일본에서 만화 해적 사이트를 CDN하면서 관련 서비스 정지를 소홀히 한 행위를 일본 법원이 방조로 보아 저작권자에게 손해배상 하도록 하는 1심 판결을 했다고.
사실 관계는 더 자세히 봐야겠지만 크플이 접속 차단 등 외부 요청에 매우 소극적(대부분 무시)로 대응하는 정책에 경고를 날리는, 주목할만한 판결이다. 감시하면서 선제적으로 대응할 의무야 없다지만 권리자나 피해자가 요청하면 응해주긴 해야지. 월 3억 뷰가 뜨는데도 중개만 한다며 나몰라라 해선 안 된다.
「옥외광고물법 금지광고물 적용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11월 18일(화)부터 시행!
「옥외광고물법 금지광고물 적용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11월 18일(화)부터 시행!
"부모에게 손을 벌리고 싶지 않았던 그는 아르바이트를 시작했다. 식당에서 일하고,공장에서도 1~2주씩 단기로 일했다"
"무리한 단속 책임이있는 출입국에선 유가족에게 사과 한마디 건네지 않았다"
"출입국은 한 시간 동안 단속을 진행해 34명을 잡았지만, 미리 확보한 명단보다 수가 부족하다며 계속 남아 수색"
h21.hani.co.kr/arti/society...
"부모에게 손을 벌리고 싶지 않았던 그는 아르바이트를 시작했다. 식당에서 일하고,공장에서도 1~2주씩 단기로 일했다"
"무리한 단속 책임이있는 출입국에선 유가족에게 사과 한마디 건네지 않았다"
"출입국은 한 시간 동안 단속을 진행해 34명을 잡았지만, 미리 확보한 명단보다 수가 부족하다며 계속 남아 수색"
h21.hani.co.kr/arti/society...
www.khan.co.kr/article/2025...
www.khan.co.kr/article/2025...
한국의 전자 정부/공공기관 시스템은 이렇게 만든 문서들을 그대로 pdf화해서 "(볼 수 있는) 사람(만)이 알아 먹는" 양식(이라고 부를 수 있다면)들을 유지했고, 당시로서는 사용자 교육을 최소화하고 빠르게 보급하는 방법이긴 했으나 자동화에 매우 불리하다는 단점도 있음. 요즘에는 AI로 처리해보려고 하는데, 효율이 잘 안 나오는 모양.
뭐, 의미 맥락 뒤죽박죽인 모양 뿐인 양식의 문서가 꼭 한국 공공영역만의 문제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그게 문제가 아닌 건 아니다.
한국의 전자 정부/공공기관 시스템은 이렇게 만든 문서들을 그대로 pdf화해서 "(볼 수 있는) 사람(만)이 알아 먹는" 양식(이라고 부를 수 있다면)들을 유지했고, 당시로서는 사용자 교육을 최소화하고 빠르게 보급하는 방법이긴 했으나 자동화에 매우 불리하다는 단점도 있음. 요즘에는 AI로 처리해보려고 하는데, 효율이 잘 안 나오는 모양.
뭐, 의미 맥락 뒤죽박죽인 모양 뿐인 양식의 문서가 꼭 한국 공공영역만의 문제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그게 문제가 아닌 건 아니다.
-라는 펼침막을 봤을 때의 충격을 잊을 수 없다.
마침내.....
-라는 펼침막을 봤을 때의 충격을 잊을 수 없다.
한국은 워드프로세서를 만든게 아니라, DTP 프로그램을 만들고 쓰면서 그걸 워드프로세서로 부르고 있었던 것 뿐임
MS Word 욕 먹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개중 가장 큰게 표 기능이나 조판 기능의 허접함인데(솔직히 이건 나도 쓰면서 개빡치는 경우가 종종 있음), 이거는 사실 워드프로세서한테 요구되는 핵심 기능이 아님...
한국은 워드프로세서를 만든게 아니라, DTP 프로그램을 만들고 쓰면서 그걸 워드프로세서로 부르고 있었던 것 뿐임
MS Word 욕 먹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개중 가장 큰게 표 기능이나 조판 기능의 허접함인데(솔직히 이건 나도 쓰면서 개빡치는 경우가 종종 있음), 이거는 사실 워드프로세서한테 요구되는 핵심 기능이 아님...